•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頭九尾의 정체와 본풀이로의 수용과정 고찰 (A Study on the Identity and Substance of Samdugumi(three heads and nine tails) and the Context of its Acception to the Myth of Jeju Islan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02
26P 미리보기
三頭九尾의 정체와 본풀이로의 수용과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34호 / 137 ~ 162페이지
    · 저자명 : 신호림

    초록

    본고는 제주도 특수본풀이로 분류되는 <삼두구미본풀이>의 등장인물 ‘삼두구미(三頭九尾)’의 정체를 밝히고, 이를 통해 삼두구미와 같은 신격(神格)이 본풀이로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삼두구미가 본래 본풀이에 존재하던 신격이 아니라, 지귀(地鬼)의 형상에 ‘삼두구미’라는 기표가 덧씌워졌다는 전제 하에 <삼두구미본풀이>에 접근하고자 한 것이다.
    굿법에 의하면, 삼두구미는 <삼두구미본풀이>가 아니라 <용놀이>에 등장하는 ‘용’이다. <용놀이>에 등장하는 삼두구미는 복수(複數)의 머리와 꼬리를 지닌 악룡으로 굿판에 액(厄)과 부정(不淨)을 주며, 잡신이지만 신당(神堂)에서 놀려진다는 점에서 당신(堂神)으로서의 성격도 가진다. 삼두구미는 단순히 지귀가 아니라 ‘용’과 같은 신격으로 <용놀이>에서 다루어진다.
    <용놀이>의 삼두구미는 지귀가 가지는 사신(蛇神)의 형상을 매개로 본풀이로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사신설화의 통시적 변모 양상을 살펴보면, 사신에게 제물로 바쳐지는 ‘처녀의 죽음’ 자체가 문제시되면서 ‘사신과 인간의 화합’을 통해 집단의 풍요가 보장되었던 구도가 ‘사신과 인간의 대결’로 변화한다. 이때 ‘대결형’ 사신설화에서 강제로 처녀를 탈취하는 사신의 형상은 <삼두구미본풀이>에서 지속적으로 여성을 요구하는 지귀의 모습과 연결된다. 강제로 처녀를 제물로 요구하는 지귀의 모습과 더불어 그가 관장하는 공간적 속성 및 부신적 면모를 고려했을 때 지귀는 대결형 사신설화에 등장하는 사신의 의미망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용’으로 등장하는 <용놀이>의 삼두구미와 <삼두구미본풀이>에 등장하는 지귀의 접점이 마련되는 지점으로, 삼두구미와 지귀의 존재는 ‘사신’을 매개로 관념상 연속선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두구미본풀이>에서 삼두구미는 지속적으로 서사에 노출되지 않는다. 삼두구미로서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은 제한적인데, 이는 <용놀이>의 삼두구미라는 기표를 끌어들여서 본풀이에 등장하는 지귀의 특정한 면모를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삼두구미본풀이>에서는 삼두구미라는 기표를 끌어들임으로써 지귀가 땅을 관장하는 신격임에도 불구하고 산자들에게 부정(不淨)을 준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따라서 모시기보다는 퇴치해야하는 대상임을 명시한다. 이를 통해 이장의 풍습을 다루는 자리에서 지귀가 산자에게 동티를 내릴 수 있다는 악신적 면모를 강조하고, 지귀를 산자의 세계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의식을 ‘삼두구미’라는 기표를 통해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iguring out the identity and substance of Samdugumi(three heads and nine tails) and considering the context of acception of this character to the myth of Jeju Island titled <Samdugumi Bonpuri>. Samdugumi is an ambiguous existence which has three heads and nine tails. This is not the typical character that we are usually able to find in Korean literary pieces.
    Samdugumi is found in <Dragon play> of Jeju island as a dragon. The dragon is described as an evil character so human being confronts some specific situation that they should exterminate Samdugumi in that play. Though this character is a godlike being, the only thing Samdugumi gives people is misfortune and ill luck.
    In <Samdugumi Bonpuri>, there is also an uncertain character named the god of earth. Because the god of earth is understood as a dragon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tales of snake god, Samdugumi and the god of earth are able to be linked as an even being. A shaman in Jeju Island puts the signifier “Samdugumi” on the name of god of earth, thereby the god of earth can start to appropriate the negative power of Samdugumi, the evil dragon.
    Therefore, when people in Jeju Island try to move the grave to the other place, they are afraid of Samdugumi and try to slay or avoid it in order to prevent themselves from misfortune. That is not only because Samdugumi is the god of earth but also because Samdugumi is a dragon who gives living people the negative influ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