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문(程門)의 미발(未發) 논변과 공부론의 두 노선 (Ch’eng I’s Debate with Two Disciples on Wei-fa and the Two Lines of Theories for Self-Cultiv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정문(程門)의 미발(未發) 논변과 공부론의 두 노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2호 / 229 ~ 261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현

    초록

    거시적으로 보면, 송대이래 이학(理學)의 공부론은 심성일체(心性一體) 노선과 심성정 삼분(心性情三分) 노선 간의 경합(競合)으로 전개된다. 장재(張載)는 전자의 사유 노선에 입각하여 처음으로 규모를 갖춘 공부론을 제시한 이학자이다. 후자의 사유 노선에 입각한 공부론의 초기 모형은 정이(程頤)에 의해 제시된다. 정문(程門)의 미발(未發) 논변은 장재의 사유 노선을 계승한 여대림(呂大臨)ㆍ소병(蘇昞)과 이 노선의 구중(求中)공부를 비판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정이 간의 논변이므로, 이학의 전개 역사에서 이 논변이 갖는 의의는 경합 관계에 있는 두 공부론이 처음으로 만나 각자 자신과는 다른 이론을 접했다는 사실에 있다.
    논의의 핵심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中) 개념을 근본적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있는 데서 비롯된 견해 차이이다. 『중용』에서 말해지는 미발의 ‘중(中)’을 장재와 여대림은 하나의 실체어(實體語)로 간주하는 반면, 정이는 심리의 한 상태를 형용하는 술어(述語)로 간주한다. 다른 하나는 여대림이 제시한 구중공부를 정이가 반대하고, 그 대안으로 ‘경(敬)의 함양(涵養)’공부를 제시하는 내용이다. 경을 중심으로 하는 미발시의 함양 공부방법은 후에 주희에 의해 심성정 삼분 노선의 중심 공부방법으로 확정된다.

    영어초록

    Largely, theories of self-cultivation of the Li-Philosophy Schools since the Song Dynasty are considered to be developed from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heories of self-cultivation of the Nature-Mind Unity line and those of the Three Divisions of the Mind, Nature, and Feelings. Chang Tsai was the first Li-philosopher to present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a certain scale based on the former line. The early model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the latter line was presented by Ch’eng I. The debate of Wei-fa(未發) presented by Ch’eng I and his disciples was based on Ch’eng I’s argument that criticized Lu Da-lin and Su Bing, who had learned from Chang Tsai, and their pursuit of Equilibrium, while also presenting an alternative for their theories. Thus,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Li-Philosophy Schools, the debate is considered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instance where two theories of self-cultivation have encountered one another to face different theories other than their own.
    There are two major points to the debate. One is based on the differences of opinions that come from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how they see the concept of equilibrium ‘Zhong(中)’. Chang Tsai and Lu Da-lin consider Wei-fa’s “Zhong”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as a material word, whereas Ch’eng I considers the same as a predicate that describes a certain psychological state. The other is that Ch’eng I counters the centrality-seeking meditation of Lu Da-lin and presents the Han-yang cultivation in the state of Wei-fa as an alternative. Later on, the cultivation of Wei-fa centered on the composure Jing(敬) and hence becomes the core theory of the Three Divisions of the Mind, Nature, and Feelings by Chu Hs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