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적석목곽묘 두상부 부장군 부장 용기와 그 의미 (The Meaning of Vessels Buried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in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09
38P 미리보기
적석목곽묘 두상부 부장군 부장 용기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116호 / 149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은경

    초록

    적석목곽묘 주곽 내에서 확인되는 두부 부장군(頭部副葬群)은 피장자를 위한 여러 공헌품이 부장되는 공간으로 이해된다. 이 글은 피장자의 머리맡에 마련된 유물부장칸과 부장궤에 부장된 용기류 중 금속용기와 토기에 주목하여 구체적인 부장양상과 의미를 검토해 본 것이다.
    두상부 부장군에 부장된 금속용기는 다양한 기종이 확인된다. 각 기종들은 부분적으로 세트 관계를 이루고 고분별로 차등 및 선택적으로 부장되는 경향성이 확인된다. 이것은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를 의례적 지위로 드러내고자 하는 과시적인 부장의 결과로, 금속용기의 기종별 부장특징은 피장자의 위계와 성별, 고분 축조집단별로 공유되는 의례적 성격에 기인한 결과라 생각한다. 토기의 부장은 음식의례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있다. 의례에는 다양한 음식물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지만, 토기 기종에 따른 음식물의 규칙성은 파악되지 않았다. 또한 두상부 부장군의 용기류는 고분의 위계에 따라 양과 질에서 차이가 있으나, 수량은 위계와 부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두상부 부장군의 각종 용기들은 기본적으로 음식의례에 사용된 제기로 볼 수 있지만, 부장된 유물의 특정조합군과 부장위치, 각 용기의 기능과 특징 등을 통해 다양한 공헌의례가 이루어졌음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례의 종류와 성격은 피장자의 위계와 성격, 고분 축조집단의 정체성에 따라 그 내용이 각기 달랐던것으로 판단되는데, 피장자나 지신(地神) 공헌품(제기), 장례에 참여한 사람들의 공음공식(共飮共食)의례 등과같이 다양한 음식의례의 맥락으로 해석 가능하다. 향후 피장자와 관련된 유물, 음식의례품, 제기 등, 의례의종류와 기능에 따라 신라 무덤의 공헌의례를 심층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vessels buried 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found within the main burial chamber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Various kinds of metal containers were buried in these ancient tombs and the formation of sets and selective use could be observed for certain types. Their use represents an ostentatious type of burial ritual used to display the social position of the buried person within a ceremonial context; the nature of their deposition was determined by the ceremonial properties shared by each group that constructed the tombs, as well as the rank and gender of the deceased. Ceramic vessels were buried as part of food rituals for the deceased; their deposition was associated with various contexts such as offerings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nd rites for the funeral participants. In the case of high-status tombs, three to six artifact assemblage groups could be found 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Vessel sets of differing nature were respectively placed in boxes and buried. This practice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forms of offering rituals that had been undertaken for the deceased. Variation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could be observed for the vessel types, reflecting the rank of the tomb owner. The artifacts placed with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of the main burial chamber were objects associated with the deceased, food ritual items, and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the auxiliary chamber, on the other hand, was found to mainly contain pottery for storage. Beginning from the mid-5th century, side dish plates, steamers, and iron pots were buried so tombs can be considered to have also served as storage spaces for life in the afterworld.
    Therefore, the various vessels found in the ‘grave goods space around the head of the deceased’ can be seen to be associated with food rituals. It can also be assumed that diverse offering rituals were conducted for the deceased, based on the assemblage groups, burial location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vessel ty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