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原州 碑頭里 龜趺와 螭首 硏究 (A Study on Bidu-li Gwib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03
21P 미리보기
原州 碑頭里 龜趺와 螭首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5권 / 153 ~ 173페이지
    · 저자명 : 김민규

    초록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碑頭里 龜趺>는 고개를 뒤로 돌린 거북이의 모습을 조각한 龜趺와 두 마리의 용이 몸을 교차하고 있는 형태의 螭首로 구성된 작품이다. 이 작품의 인근에 건립된 <韓百謙 神道碑>(1644년)는 이 작품과 고개를 돌리고 있는 거북이의 형상, 이수를 구성하고 있는 용의 형태 및 표현방법, 排水口 등이 동일하다. 그래서 두 작품이 제작시기와 주인공의 연관성이 깊으며, <비두리 귀부>는 韓百謙의 동생으로 <韓百謙 神道碑>건립을 추진한 西平府院君 韓浚謙(1557-1627)의 1629년 건립 신도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두리 귀부>의 귀부는 1620-30년대 원주 지역에서 유행하던 형태로 입가 주위에 물갈퀴 형태와 코에서 흘러나오는 瑞氣, 정육각형의 龜甲, 발 뒤쪽의 소용돌이 문양 등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조형요소들은 원주지역에 남아있던 고려시대 塔碑를 계승한 것이다.
    <비두리 귀부>의 螭首는 상단이 하단보다 넓은 사다리꼴로 法相宗 塔碑의 이수와 닮아있다. 이러한 법상종 탑비 중 이수에 표현된 용의 형상이 <비두리 귀부>와 가장 유사한 것이 <七長寺 慧炤國師碑>(1060년)로 2단으로 구성된 이수, 용의 자세, 배수구 등이 일치한다. 그래서 이 <비두리 귀부>는 원주지역 고려시대 귀부를 모방한 귀부와 <칠장사 혜소국사비> 이수를 모방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17세기 원주 지역 석조물의 복고적 성격은 새로운 양식 창안의 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한준겸이 건립을 계획한 한백겸 신도비와 이와 동일한 형태의 <비두리 귀부>는 한준겸의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옛 석물의 모방을 통해 새로운 양식을 창안하려는 의지는 血統과 政治勢力을 통해 계승된다. 그래서 한준겸의 외손자인 麟坪大君, 인조반정에 한준겸과 함께 참여한 西人을 중심으로 이러한 복고적 요소의 귀부 신도비들이 제작되었다. 결국 <비두리 귀부>의 새로운 양식 창안의 의지와 복고적 성향은 조선후기 龜趺가 龍頭形으로 변화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영어초록

    <Bidu-li Gwibu(碑頭里 龜趺)> is a set of a turtle-shaped stone base(gwibu, 龜趺) and <yisu, 螭首>, lacking its stele. located in Wonju, Gangwon province. On its carvings, the turtle on the <gwibu> turned its head back, and two dragons are linked each other on the <yisu>. Located near is a stele of <Han Baek-gyeom's memorial stele(韓百謙 神道碑)>. These two have things in common; two same motifs carving techniques, and drain holes. <Bidu-li Gwibu> is therefore in a kinship with <Han Baekgyeom's Stele>, both on datings and the figure recorded.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gwibu set had built in the year of 1629 for Han Jun'gyeom(韓浚謙, Baekgyeom's younger brother, 1557-1627), whom is titled of <Suhpyeong buwon'gun(西平府院君)>.
    The gwibu part of this set falls into the period style of 1620-30s; traits of webbed-shapes on its mouth, suhgi(瑞氣) flows out from the nose, hexagonal cellular-shaped shell on the back(龜甲), spiral symbols behind the feet. These traits are Goryeo Tapbi tradition in Wonju region.
    The trapeziod-shaped yisu is akin to one of Beobsangjong(法相宗) stele(塔碑). The most relevant correspondence with the dragon is <Chiljangsa Hyecho-guksa's Stele(七長寺 慧炤國師碑, 1060)>; two-staged yisu, the pose of dragons, drain holes. Therefore it could be stated that this set of gwibu is built after the manner of both Goryeo gwibus in Wonju region and yisu of <Chiljangsa Hyecho-guksa Stele>.
    This retro character of wonju region in 17th century is derived from the effort to devise a new style. With resemblance between Han Baekgyeom's Stele out of Jun-gyeom's patronage and <Bidu-li Gwibu>, this gwibu is also out of his patronage.
    This retro-immitating manner runs through the kinship and his policital faction. Prince Yinpeong Daegun(麟坪大君, grandson-in-law), members of Suh-in party joined in the Coup of 1623 had built memorial shindobi(神道碑) steles in this retro manner. After all, this will to devise new style through retro manner in building <Bidu-li Gwibu> was the major factor changing late Chosun gwibus into dragon-headed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