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복합 학문과 두 질서의 문제 (The Science Convergence Study and the Problem of the Two-Ord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01
28P 미리보기
융복합 학문과 두 질서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7권 / 1호 / 313 ~ 340페이지
    · 저자명 : 안호영

    초록

    체계를 세우고, 그 체계에 정합적인 논리를 찾으려는 수많은 시도는 파편화되고 우연적인 분과 학문이 처한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렇지만 여전히 체계에 대한 믿음은 강건하고, 체계로 담아내지 못했던 것을 포괄하려는 노력은 끝이 없다. 인간 정신의 공통성을 믿으며, 그 정신에 뿌리내리고 있는 상이성을 공통성으로 물들일 수 있다고 다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융복합 학문에 대한 요구는 이러한 믿음에 균열을 만들고, 그러한 다짐을 아득하게 만든다. 논자는 두 질서의 문제 속에는 질서로 구현하려는 공통성이 있음에 대한 믿음과, 무질서로 외면해버릴 상이성을 극복하려는 다짐이 있음을 들추어내려 한다.
    먼저 논자는 분과 학문의 우연성을 들추어내고, 학문간의 만남뿐만 아니라 학문과 사람의 만남이 의미하는 바를 재조명함으로써 융복합 학문의 성립 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다. 삶에 주의하는 의식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정신과 육체의 조화로운 삶을 지향하는 한, 질서의 관념은 우리가 끊임없이 탐색해왔던 것이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탐색할 것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룩한 과학의 발전을 인정하면서도 그 이면에 있는 시간의 공간화를 들추어내고 비판한 베르그송이 질서는 지성의 일이며 이해 가능한 것이라 분석한 것은, 이러한 탐색에 대한 자기비판이기도 한 것이다.
    이어서 시간과 공간을 재단하는 기하학적 질서에서 드러난 한계는 무질서를 노정시켰음을 검토하고, 이러한 무질서가 생명성의 경향 속에서 허위 관념임이 논증되면서 생명적 질서에 대한 탐구로 나아갈 것이다. 융복합 학문이 열려있음을 허위 관념인 무질서가 생명적 질서가 된다는 논증을 통해 확인하려는 것이다. 끝으로 융복합 학문은 은유적인데, 기하학적 질서와 생명적 질서의 만남 자체가 이미 은유임을 논증할 것이다. 이러한 질서의 관념은 세 가지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데, ①기하학적 질서와 기하학적 질서, ②기하학적 질서와 생명적 질서, ③생명적 질서와 생명적 질서 등이다. 논자는 창조성과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융복합 학문이 ②기하학적 질서와 생명적 질서의 만남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일 것이다.

    영어초록

    Enormous efforts to build the structure and to find its logic proper to it, it reveals in shorts the difficulty which is confronted the individual study which is fragment and contingency. However there are strong confidences in the system, and endless efforts to embrace what could not include in the system. They would believe the universal human nature, and would assure that they could make the difference which is rooted on this nature to the commonness. But there are fractures in this confidences by the demands on the convergence study, and these make have a long way to go. I would make reveals, in the problem of the two-orders, that there are both the trust which there is the commonness to give concrete order, and the assurance to overcome the difference which is ignored by the disorder.
    First of all, after revealing the contingency of the individual study, I would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study to put the spotlight on which mean not only the get-together with several individual study but also encounter with human. Because, without saying the mind fixed to ordinary life, so far as we would intend to the harmony with the body and the mind, we have been try to find until now and will try to find after. Bergson, who would has accommodated the accomplishment of the science up to date and disclosed and criticized the spatialisation of time which lies behind, has analyzed that the order is a work of the intelligence and is able to understand, this analysis also criticize himself for this survey.
    Then after discussing that the limits revealed by the geometrical orders which are cut the time and space make turned out the disorder, and arguing this concept of disorder as the false idea in the tendence of the vitality, I would investigate the vital order. I would recognize the openness of the convergence study through the disorder which is the false idea becoming the vital orders. Finally, as the convergence study is metaphoric, I would discuss that the encounter the geometrical orders with the vital orders is already metaphoric. These concepts of order make the three kinds of encounters: ①the geometrical orders and the geometrical orders, ②the geometrical orders and the vital orders, ③the vital orders and the vital orders. I would show that the convergence study which regards the creative and the imagination as important is related to the encounter with ②the geometrical orders and the vital or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