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종파불교’ 프레임 再考 - 남북조불교 연구 방법론과 관련하여 (“Sectarian” Buddhism in the East Asia: Revisite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4
29P 미리보기
동아시아 ‘종파불교’ 프레임 再考 - 남북조불교 연구 방법론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6호 / 175 ~ 203페이지
    · 저자명 : 이상민

    초록

    본고는 남북조 불교를 연구의 방법론을 마련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서, ‘부파불교’와 ‘종파불교’라는 불교 연구의 통상적인 프레임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 단일교단이 여러 부파로 분화된 원인에는 크게 두 가지 전승이 전해진다. 하나는 아라한의 해석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율장의 해석 문제였다. 인도 부파불교의 양상을 살펴보면 그 집단의 배타성은 사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계율에 있는 것이었다. 심지어 사상적으로 다른 입장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승단 생활에 필요한 계율을 충실히 따르는 이상 동일한 부파의 소속으로 간주되었다.
    2. 중국의 종파불교는 규정하기 힘든 개념이다. ‘동일한 사상을 지닌 배타적인 집단’이라는 지점에서 살펴보면 수당시대까지도 종파가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본래 종(宗)이란 ‘경전의 취지’라는 의미였고 집단을 나누는 의미는 상당히 후대에 와서야 부여되기 때문이다.
    3. 학술적인 관점에서, ‘부파불교’와 ‘종파불교’가 공히 근대 일본 불교학계에서 도출된 개념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일본 불교는 근대적 의미의 불교학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신학이나 종교학의 교단에 대응되는 용어로 ‘종파’를 제시하였고, 이는 다시 동아시아 불교를 해석하는 주요한 프레임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일본 불교에서 기인한 이 용어는 본질적으로 동아시아 불교 전체를 형용하는 데 한계를 가지는 프레임이다.
    4. 그러므로, 보다 정합적인 동아시아 불교 고찰을 위해서는 종파를 중심으로 한 종적 연구와 더불어 시대와 지역, 텍스트 중심의 횡적 연구가 요청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rames of Buddhist research,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identity and group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Sectarian" frame both in India and East Asia. The following points summarize the contents of this paper: The division of the early monolithic saṅgha (部派) into several sects is attributed to two main transmission issues: the interpretation of Arhats and the interpretation of Vinaya.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an Buddhist Sects, the exclusivity of the group was not based on philosophy but on the Vinaya. Even if one held different views philosophically, they had not been driven out of their own group as long as they faithfully followed the Vinaya necessary for the monastic life.
    The concept of sectarian Buddhism (宗派) in China is difficult to define. From the perspective of an “exclusive group holding a distinctive philosophy,” there is much skepticism as to whether such factions existed until the Sui and Tang dynasties. Originally, Zong (宗) meant the “core teaching of the Sutras,” and the notion of dividing groups emerged much later.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it is notable that the frame of “Buddhist sects,” whether in India or China, is the concepts derived from modern Japanese Buddhist scholarship. In constructing modern Buddhist studies in Japan, the term “宗派” was propos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theology or religious studies. This term has since become a major frame for interpreting East Asian Buddhism. Moreover, the term “部派” that frames Indian Buddhism was derived from the idea of “宗派” by Japanese scholars. As these concepts are all imbued with the values of modern Japanese Buddhism, they have inherent limitations as frames for viewing Buddhism as a whole.
    To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Buddhism, along with the vertical research centered around sects, the horizontal research encompassing the entire period and region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