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의 부자간 수창시(酬唱詩) 연구 (A study on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 of Jangdong Kim's famil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6
33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의 부자간 수창시(酬唱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5권 / 123 ~ 155페이지
    · 저자명 : 강혜선

    초록

    본고는 부자(父子) 사이의 한시 수창(酬唱)이 매우 활발하였던 조선 후기 장동(壯洞) 김문(金門)을 대상으로 부자간 수창시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김수항(金壽恒)은 유배지 영암, 철원, 진도에서, 또 둘째 아들 김창협과 셋째 아들 김창흡의 은거지인 백운산, 삼부연 등에서 함께 생활하거나 여행하면서 여러 아들과 활발하게 한시를 수창 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다음 세대로 이어졌다. 첫째 아들 김창집(金昌集)은 유배지 거제도에서 김제겸(金濟謙)과, 김창협은 백운산, 미호 등에서 김숭겸(金崇謙)과, 김창흡은 백담 등에서 김양겸(金養謙)과 한시를 수창 하였다. 부자가 산수를 여행하며 주고받은 대량의 산수기행시들을 통해, 장동 김문의 아버지와 아들은 때로는 편안하고 즐거운, 때로는 위로가 되는 삶의 동반자가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부자는 좋은 시우(詩友)가 되었다. 이들 문인은 가족과 함께 일상을 나누는 정감과 산수를 직접 밟으며 보고 느낀 정경을 진솔하게 한시로 써나가는 과정에서 진시를 자연스럽게 구현해 나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oetry exchanged between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The father and sons of Jangdong Kim's family enjoyed writing poems together. Kim Suhang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th his sons in Yeongam, Cheolwon, and Jindo, the exile sites. He also wrote poems while traveling or living with his sons in Baegunsan Mountain and Sambuyeon, where his sons stayed. Kim Suhang’s six sons also inherited his father's poetic tendencies. Kim Changji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Jekyum at exile Geoje Island, Kim Changhyeo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Sungkyum at Baekunsan Mountain, and Kim Changhyup exchanged poems with his son Kim Yangkyum at Baekdam and other places. In these poems, the fathers and sons sometimes became comfortable and pleasant companions, sometimes consoling each other. First of all, they became friends who wrote poems together. They naturally embodied Jin shi(眞詩)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in earnest about the emotions and the scenes they felt while traveling through the mountains and about the feelings they felt when they spent their daily lives with their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