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남 교산동 건물지의 조사성과와 역사적 가치 및 활용 방안 (A Study of Gyosan-dong Building Site in Hanam City Focusing on Research Results, Historical Value, and Its Utiliz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4
32P 미리보기
하남 교산동 건물지의 조사성과와 역사적 가치 및 활용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23권 / 1호 / 125 ~ 156페이지
    · 저자명 : 황보경

    초록

    하남 교산동 건물지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시굴 및 발굴조사가 진행되어 크게 세 동의 건물지 가 평면 ‘ㄷ’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담장지와 연못지, 요지, 할석유구 등도 발굴되었다. 조사내용은 종합보고서를 포함하여 모두 4권으로 간행되었고, 하남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산동 건물지에 대한 조사성과를 비롯하여 건물지의 변천과 역사적 가치, 당면 과제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교산동 건물지의 변천과정은 크게 3기로 나눠지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제1기는 서쪽과 동쪽건물지 등과 건물지를 둘러싼 토루가 함께 조영되었고, 토기 및 기와 그리고 ‘城達’과 ‘哀宣’명 기와, 해무리굽 청자 등이 출토되어 남북국시대 말기~고려 초기에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제2기는 ‘ㄷ’자 형태의 건물 배치가 완성되었고, ‘廣州客舍’・‘官’명 기와 및 분청사기와 조선 관요에서 생산된 백자 등이 출토되어 광주객사로 운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제3기에도 서쪽・동쪽・남쪽건물지가 조영되었고, 담장지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부 보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건물지의 건립시기는 ‘別’자가 시문된 백자와 청해파문 바탕에 ‘廣’・‘官’명 인장와가 포함되어 있어 광주관아가 남한산성으로 이전되기 전까지인 17세기 전반까지 관영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항공사진을 바탕으로 토루의 존재와 출입구 위치, 좌향에 대한 검토를 해 보았고, 남쪽담장지 밖에도 건물지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교산동 건물지의 역사적 가치를 네 가지로 요약해 보았는데, 첫째, 광주 객사지로서 가치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둘째, 남북국시대 한산주(한주)의 관영건물지이자 평지성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교산동 건물지의 제1기 건물지와 토루가 이 시기에 축조되었는데, 특히 건물지를 둘러싼 장방형의 토루 존재는 읍성으로 발전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후삼국시대에 활동했던 인물들이 건물 조영에 관여한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데, 성달과 애선의 이름이 시문된 명문기와가 교산동 건물지와 광주향교 등 교산동・춘궁동 일원에서 출토되고 있는 점에서 그들의 영향력과 왕규와의 정치적인 관계가 밀접했음을 설명하였다. 넷째, 교산동 건물지는 주변 유적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당면 과제로는 교산동 건물지에 대한 추가 정밀조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고, 유적의 보존과 탐방객을 위해서 기본적인 시설 정비가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활용방안은 단기・중기・장기로 제시해 보았는데, 단기적으로 교육 및 답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추가 조사를 거쳐서 건물의 중복 관계와 구조를 보다 확실하게 규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기적으로 건물지 유구를 그대로 노출시켜 보존하되 전시관을 신축하거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전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장기적으로는 탐방객들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객사(관아)스테이’의 장소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Gyosan-dong building site in Hanam, excavated from 1999 to 2003, revealed that three buildings were arranged flat in a shape resembling ‘ㄷ’, akin to a three-sided square with one side open. The excavation also uncovered fences, ponds, and kiln sites in addition to the building sites.
    This article examines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Gyosan-dong building site, alongside its changes, historical value, challenges, and a plan for its utiliza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Gyosan-dong site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periods. The first period featured the construction of the west and east buildings, as well as the earthen wall that encircled the site. This era is presumed to range from the late North-South States period to the early Goryeo period, evidenced by excavated items such as tiles engraved with ‘城 達’ (Seongdal) and ‘哀宣’ (Aeseon), along with blue celadons.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unique ‘ㄷ’-shaped layout of the buildings was completed. Excavations yielded tiles bearing ‘廣州客舍’(Gwangju Gaeksa) and ‘官’ (Gwan), grayish-blue powdered celadons, and white porcelain from the Joseon Dynasty, indicating the site’s use as Gwangju Gaeksa.
    The third period witnessed the construction of the western, eastern, and southern building sites, with renovations to the walled area that preserved its original form.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se sites dates back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s suggested by the discovery of white porcelain and seals inscribed with ‘廣’ (Gwang) and ‘官’ (Gwan). Further analysis, including aerial photography, provided insights into the earthen wall’s existence, the site’s entry and exit points, and its direction toward the lef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yosan-dong site is summarized in four key aspects: firstly, as the Gwangju Gaeksa site; secondly, its importance as a government building site and a flatland castle in Hansanju (Hanju) during the North-South States Period. The presence of an oblong earthen wall at the Gyosan-dong building site is judged to show the stage of development into a town village; thirdly, the involvement of historical figures such as Seongdal and Aeseon in the construction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dds to its historical importance; and fourthly, the site's valu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adjacent ruins.
    The article highlights the urgent need for further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Gyosan-dong site. Emphasis is placed on the immediate preservation of the ruins and the maintenance of basic visitor facilities. Several utiliz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aimed at enhancing the site’s value in the short, medium, and long te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