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시대 예술의 미학적 담론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 패션 연구 (A Contemporary Fashion Study Based on the Aesthetic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04
10P 미리보기
동시대 예술의 미학적 담론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 패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75권 / 257 ~ 266페이지
    · 저자명 : 배정민

    초록

    본 연구는 동시대 예술에서의 미적 담론과 동시대 패션의 주요 코드를 매개할 분석도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에서 논의되고 있는 ‘동시대성’에 대한 논의의 주요 개념을 패션 영역에 적용하여 불확정적인 현대패션을 새로운 관점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동시대성에 대한 논의는 예술비평의 분야에서 이질적이면서도 중첩적인 용어로 등장하였으며, 본 연구는 이브 미쇼(Yves Michaud)의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post-postmodernism)시대의 동시대미술,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의 얼터모던(altermodern),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 래디컨트(redicant), 관계미학, 오쿠이 엔위저(Okwei Enwezor)가 제시한 4개의 서로 다른 지역적 모더니티 모델, 포스트-미디엄(post-medium)의 후기 매체 담론을 제시한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의 논의를 바탕으로 동시대 예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동시대 예술의 주된 비평담론을 4가지로 추출하여 시공간의 동시적 표현, 매체의 확장과 혼합, 비서구권의 지역화된 모더니티, 참여의 관계성으로 분류하여 새로운 유형의 동시대 예술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담론을 제시하였다. 패션은 자기표현의 형태로 현대 사회문화의 표상이며 현재를 규명하는 도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앞서 추출한 동시대 담론을 패션 영역에 적용하여 사례고찰을 통해 동시대 담론의 표현적 특성을 분석하고 동시대 담론의 해석을 진행하였다. 패션 사례 고찰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표현적 특성은 시공간의 동시적 표현, 매체의 혼합을 통한 공감각적 표현, 다양성과 장소와 시간의 특수성 표현, 관계형 예술의 표현으로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rtistic discourse and aesthetic reason inherent in contemporary fashion from the viewpoint of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after post - modernism. In addition, the new paradigm of fashion is embodied in an integrated view of contemporary art discourse, and its express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his will be a test of hypotheses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fashion, and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loring and understanding new analytical tool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phenomena of fashion in the future. Discussions about contemporary have emerged in heterogeneous and overlapping terms in the field of art criticism. This research is based on Yves Michaud's contemporary art in the post-postmodern era, Nicolas Bourriaud's altermodern, postproduction, redicant, Based on the discussion of relationship aesthetics, four different regional modernity models proposed by Okwei Enwezor and Rosalind Krauss's post-medium later discourse on media, the concept of contemporary art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is study extracts the main critical discourses of contemporary art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zes new types of contemporary art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simultaneous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expansion and mixing of media, localized modernity in the non-Western region, and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Fashion is a form of self-expression, a representation of contemporary social culture and a tool to identify the present, leading to academic research. Based on this basis, the contemporary discourse extracted earlier was applied to the fashion domain, analyz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discourse through case study, and proceed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emporary discourse. Based on this basis, the contemporary discourse extracted earlier was applied to the fashion domain, analyz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discourse through case study, and proceeded to interpret the contemporary discours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study of fashion cases can be analyzed as simultaneous expression between time and space, synesthesia through mixing of media, expression of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place and time, and expression of relational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