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문화환경으로서 서울 풍납동 토성 일대의 도시형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ms around Pungnaptoseong Fortress in Seoul as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02
56P 미리보기
역사문화환경으로서 서울 풍납동 토성 일대의 도시형태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62호 / 95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난경, 양승우

    초록

    풍납토성은 유력한 백제초기의 왕성으로 주목 받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풍납토성은 대부분의 역사적 실체가 매장문화재 상태로 부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성벽을 포함한 내부지역 면적이 약 88만㎡에 달한다. 그리고 성내외부 일대가 모두 주거지역으로 조성되어 있어 보존과 개발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러한 풍납토성을 둘러싼 갈등과 그 해결방안들은 한성백제기의 문화재와 매입발굴지역에 대한 보상 문제에만 치중되어 있어 정작 진정한 풍납토성의 장소적 가치를 살피는 노력들은 소홀히 다루어져 온 측면이 있다.
    풍납토성은 한성백제기의 핵심적인 문화재일 뿐만 아니라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람들과 함께해온 도시환경이다. 도시는 형성-발전-쇠퇴-재생의 발전주기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하지만, 급변하는 토지이용과는 달리 자연환경과 도로, 필지 등 일부 역사문화환경 요소의 경우는 쉽게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근대화 이전의 전통사회의 도시형태속에는 한성백제시대와 연속선상에서 파악될 수 있는 요소들이 더 많이 남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과거부터 유지되어 온 도시형태속에 남아있는 역사적 흔적을 구체적으로 밝혀냄으로써 특정시대의 문화재로서만이 아니라 풍납토성을 이루고 있는 역사문화환경의 다양한 역사적 층위를 분석해내는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풍납토성 일대의 시대적 층위를 다양화시키는 측면에서 근현대화 과정을 겪기 이전의 조선시대 풍납토성 일대의 도시형태적 특성을 미시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한성백제기의 풍납토성의 도시형태와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조선시대의 풍납토성은 여전히 한강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주거지로서 주요한 삶터였고, 도요업의 기능을 갖춘 비교적 번성한 촌락이었다는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한성백제부터 이용되던 도로가 확인되었는데 이 도로는 조선시대 토성내부의 high street로 한성백제기의 지형을 반영하여 조성되어 있고 토성내부 도시형태에 영향을 미쳤으며 광역적으로는 주변지역을 연계하는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해왔다는 것이다. 두 시대간 형태적 관계고찰을 통해서는 하천, 등고선, 지목, 필지형태, 발굴조사 자료 및 기타 사료를 통해 풍납토성 성벽의 전체적인 형상과 문지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일부 면적인 발굴유구배치도를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조선시대 도시형태와 한성백제 도시형태 사이에는 형태상 일치하거나 맥락적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Pungnaptoseong Fortress is an area grabbing attention as Wiryeseong, the capital of Baekje at the earliest stage. However, most of the historical resources of Pungnap-toseong Fortress has remained in the condi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and the area of its inside including the ramparts is almost 880,000㎡. As its inside/outside is all built up as residential area, there are sharp conflicts betwee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conflicts and their measurements regarding management of Pung-naptoseong Fortress give priority to issues on cultural heritage and compensation for excavation site of the Hanseoung Baekje era, whereas little concern on investigating its place values tends to be paid.
    Pungnaptoseong Fortress is not only a core cultural asset of Hanseong Baekje period, but also an urban environment together with people till today. Even though cities are continuously changing in the development cycle such as formation-development-decline-regeneration, contrary to the rapidly changing landuse, som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s like natural environment, street, and plot are not changing easily. In the urban form of traditional society before modernization, there would be much more elements continued from Hanseong Baekje period.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the analysis of various historic layers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composing Pungnaptoseong Fortress, by concretely revealing the historical traces remaining in the urban form kept from the past.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the analysis of various historic layers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composing Pungnaptoseong Fortress, by concretely revealing the historical traces remaining in the urban form kept from the past.
    In the results of the study, Pungnaptoseong Fortres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a relatively prosperous village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pottery manufacturing as a residential area for main livelihood, on top of close relation with Han River. Moreover, there was a street used from Hanseong Baekje period, which has reflected the topography of Hanseong Baekje period, had influence on the urban form of the internal fortress, and maintained the function of connecting surrounding areas, as a high street inside of the fortres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formative relation between those two different time periods based on data such as river, contour, land category, plot form, excavation, and other historical materials, it was able to estimate the whole shape and gate sites of Pungnaptoseong Fortress. In the results of microscopically examining the excavated remains plan for some areas, the urban form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has much formative accord or high contextual correlations with the urban form of Hanseong Baekj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