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꽃보다 남자〉를 통해 본 동아시아 대중문화의 허와 실 (The Fiction and Reality of Eastern Asian Pop Culture through Boys Over Flower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07
31P 미리보기
〈꽃보다 남자〉를 통해 본 동아시아 대중문화의 허와 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논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논역총간 / 47호 / 131 ~ 161페이지
    · 저자명 : 김정은

    초록

    최근 몇 년간 한국과 중국, 한국과 일본 사이의 정치·역사적 이슈, ‘코로나 19 (COVID 19)’라는 팬데믹(pandemic) 상황은 인터넷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한중일 각국 대중들의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코로나 19’가 중국에서 시작되어 초기 일본과 한국을 중심으로 유행하면서 이를 둘러싸고 각국이 정치·외교적으로 충돌했을 뿐만 아니라, 각국의 대중들과 네티즌들 또한 상호 비방과 비하, 혐오의 표현을 숨기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한중일의 정치, 역사, 경제 등의 갈등에서 비롯된 서로 간의 적대감뿐만 아니라, 각국의 대중문화 교류의 역사 속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여러 잠재된 담론들이 표면적으로 부상하였음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담론들은 ‘동아시아’와 ‘동아시아 정체성’에 관한 담론이 얼마나 이상화된 담론인지 잘 보여주며 ‘동아시아 대중문화’라는 ‘문화적 상상’의 ‘허’와 ‘실’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랜 시간 한중일 대중문화의 초국적 교류와 소통을 보여 주었던 대표적 콘텐츠인 <꽃보다 남자>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각국에서 리메이크된 드라마 <꽃보다 남자>의 서사구조 분석을 통한 문화적 공감과 차이를 고찰한 몇몇의 연구들만 있을 뿐, 수용자인 대중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초국적 대중문화 콘텐츠의 대표적 사례인 <꽃보다 남자>의 한중일에서의 교류에 관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대중들의 욕망과 그 이면에 잠재된 담론을 고찰한다.

    영어초록

    The pandemic from COVID19 and recent years of political and historic issues between Korea and other eastern asian nations such as China and Japan has caused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of each nation. Particularly, since COVID19 started from China and spread out Japan and Korea at the early stage, each country had to confront political and diplomatic challenges, and in the process public condemnation and hatred were well presented. When we take a close look into the phenomenon, it can be found that not only in-depth hostility from political, historic, and economic dispute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ut also a bounty of arguments in history of pop culture interchange just came out of the surface.
    These arguments shows how idealistic it is to discuss ‘East Asia’ and ‘Identity of East Asis’ and requires our attention in the point of revealing ‘fiction’ and ‘reality’ of ‘cultural imagination’ so called ‘East Asian pop culture.’ Previous researches on Boys Over flowers, the icon of interchange and communication of pop culture between Korea-Chine-Japan for a long time, aimed to inspect the cultural sympathy and difference through the narrative analysis of various versions in each nation while the study on public side was not satisfi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tudy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Boys Over flowers, focusing on the public desires and potential discourses between the l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논역총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