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 - 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 (The Cultural Vision of Intellectuals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With Focus on Changkang, Kim Taekyou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06
35P 미리보기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 - 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7호 / 201 ~ 235페이지
    · 저자명 : 정재철

    초록

    滄江 金澤榮(1850~1927)은 개성의 무변 집안에서 태어나 갑오개혁으로 총리에 오른 金弘集에 의해 편사국 주사로 발탁되어 史書를 편찬하는 일에 참여하였고, 을사조약이 체결되기 직전인 1905년 9월에 중국 南通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22년을 살았다. 그는 중국 남통으로 이주한 이후 줄곧 한국 국적을 유지하다가, 1912년 1월에 ‘본분으로 돌아간다.’는 명분을 들어 중국 국적을 취득하였다. 그는 1913년 10월에 『古本大學章句』를 간행하였고, 같은 해 12월에 『韓史綮』을 편찬하였다. 이 두 책 속에는 그가 한국의 병합과 중국의 혁명이라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전환기를 겪으면서 체계화한 문화비전의 특징이 온전히 실려 있다.
    김택영은 옛 성현들이 기록한 경전의 오류를 주나라 말기에 공자가 바로 잡았고, 동한의 유향과 유흠 부자에 의해 체계화된 고문경학이 공자의 정통을 이은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경학사상에 기초하여 『고본대학장구』에서 주희가 새로 보충한 格物致知章은 증자가 처음부터 立傳하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조선이 망한 원인 중의 하나로 주자학 일변도의 편협한 학문 풍토에 있다고 보고, 500년 이상 지속된 조선의 학술적 근거를 제공해오던 주자학의 입각점인 격물설을 근본적으로 부정함으로써, 주자학에 의해 성립된 국내 학문과 도통의 진실성은 물론 이를 근간으로 형성된 통치 질서의 합법성까지 흔들었다.
    김택영은 삼국시대를 文보다 質이 우세했던 초기의 문명으로, 조선시대를 質보다 文이 우세했던 말기의 문명으로, 고려시대를 文과 質이 조화를 이룬 중기의 문명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역사인식에 기초하여 『한사경』에서 위화도 회군 문제를 거침없이 거론하면서 조선왕조의 정통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였다. 그는 고려왕조가 文과 質이 조화를 이루어 양한과 삼대의 정치를 완성한 것으로 파악하고, 건국에서 망국에 이르기까지 조선 역대 왕들의 실정과 붕당정치의 폐해를 집중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위화도 회군에서 시작된 조선 왕조의 정통성은 물론 이를 근간으로 500년 동안 유지된 조선왕조의 합법성까지 문제시하였다.
    김택영이 평생에 걸쳐 익힌 학문은 모두 중국의 성인에게서 資賴한 것이다. 따라서 그는 당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이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양한과 삼대의 정치를 회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가 편찬한 『고본대학장구』와 『한사경』은 위와 같이 성인의 도덕으로 서양의 세력에 맞서고자 했던 복고적 문화비전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구한말을 전후로 한문을 수단으로 문학 활동을 한 한말사대가의 마지막 주자였다는 점에서, 그가 보여준 이와 같은 복고적 문화비전은 수천 년 간 중국과 한국 문학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던 한문학의 역사적 소임이 마침표를 찍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Changkang(滄江), Kim Taekyoung(金澤榮, 1850~1927)) was born in good family in Kaesung and selected by Kim Hongjib(金弘集) as an edit of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Bureau, where he participated in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Then he moved to Nantong(南通), China in September, 1905, just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Eulsa Protection Treaty and have lived there for 22 years. He had maintained Korean nationality until January, 1912, then acquired Chinese nationality, clearly defining his moral obligation about the pursuit of his learning. He published 『Gubendaxuezhanggou(古本大學章句)』 in October, 1913 and 『Hanshiqi(韓史綮)』 later in the same year. In these two books, he put all of his ide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vision which he had systematized through the historical transitional period of the Eastern Asia such as the Annexation of Korea and the Revolution of China.
    Kim Taekyoung thought that Confucius corrected the mistakes in the Chinese classics at the end of the Joo dynasty, and The Confucius's orthodoxy was succeeded by Liuxiang(劉向) and Liuxin(劉歆), the father and son, who were systematized the study for the Chinese classics. He insisted Chengzi(程子) hadn't write Gewezhizhizhang(格物致知章) at the first but Joohee supplemented it later in his 『Gubendaxuezhanggou』 based on his thought about the Chinese classics. He saw one of the main reasons of the fall of the Chosun dynasty was the slanted scholastic climate to Zhuzixue(朱子學) and throughly denied Geweshuo(格物說), the most important theory to build up the Zhuzi(朱子) philosophy, which had provided the scholastic foundation for Chosun about for 500 years. This shook not only the faith of the succession of the moral philosophy by Zhuzixue but also the lawfulness of the sovereign order by Chosun which had been formed on the basis of Zhuzixue.
    Kim Taekyoung understood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s the early era civilization which Zhi(質) was superior to Wen(文), Chosun as the last era civilization which Wen was superior to Zhi and Wen, Koryo as the middle era civilization which Wen and Zhi made a good harmony. He extensively contradicted the legitimacy of the Chosun dynasty, making the Wihwa Island withdrawal of troops an object of criticism with no hesitation, based on this historical point of view in his book, 『Hanshiqi』. He grasped that the Koryo dynasty had harmonized Wen and Zhi so that it could complete the political ideas of the both Hans, Donghan(東漢) and Xian(西漢) and the Three Great dynasties, the Ha dynasty, the Eun dynasty, the Joo(周) dynasty. He intensively criticized the misgovernment of the successive kings of Chosun and the evil effects of the faction political affairs and attacked the legitimacy of the Chosun dynasty which had started from the Wiwha Island withdrawal of troops.
    Kim Taekyoung depended his scholastic knowledge of his life time upon the Chinese sages. Therefore he thought the only way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Asian countries of the time were confronted was the recovery of the politics of the both Hans and the Three Great Kingdoms of China. His two books, 『Gubendaxuezhanggou』 and 『Hanshiqi』, were published in the practicing process of his cultural vision of the reactionary tendency. He wanted to fight against the power of the West with the morality of the sages. His cultural vision with the reactionism shows us symbolically that the Chinese classics put a period to the historical mission despite of its importance in the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for several thousand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