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日本地域의 高麗佛像과 浮石寺 銅造觀音菩薩坐像 (Goryeo Buddhist Statues in western Japan area and Seated Bronze Avalokitesvara Statue(觀音菩薩坐像) at Busoksa(浮石寺))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3.06
21P 미리보기
西日本地域의 高麗佛像과 浮石寺 銅造觀音菩薩坐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4호 / 73 ~ 93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초록

    서일본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한국에서 건너간 많은 불상이 전한다. 그중에는 삼국시대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전해진 불상을 비롯하여 왜구와 임진왜란과 같은 전쟁으로 인한 유출 그리고 일제강점기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전해졌다. 對馬島 觀音寺에 있는 동조관음보살좌상은 정확한 시기와 봉안처 등을 알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최근 우리나라에 불미스럽게 들어오면서 그 반출경위에 대한 의문점이 논의되어 왔다.
    이 동조관음보살좌상은 1951년 복장물이 발견되면서 佛像結縁文이 확인되었다. 그 내용은 1330년 충청남도 서산 부석사에서 돌아가신 부모를 대신하여 승려 계진을 비롯한 승속 32명 등 서로 인연이 있는 중생들이 힘을 합쳐 불상을 주조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에 남아 있는 많은 불상 가운데 충청남도 서산 부석사라는 정확한 봉안처가 확인된 유일한 작품임을 알게 되었다. 이 동조보살좌상은 또렷한 이목구비에 부드러운 미소를 띤 온화한 얼굴 모습과 대의 착의법, 묵직한 영락 처리 등에서 부드러우면서도 안정된 느낌을 주는 조형적으로도 우수한 작품이다.
    그러나 언제인가 충청남도 서산 부석사에서 일본 對馬島의 觀音寺로 옮겨졌으며 사찰 법의 본존불로 봉안되어 있었는데 일본으로 건너 간 이유나 배경, 경로 등은 전혀 알 수 없다. 사찰에 남아 있는 기록을 통해 1526년경 현재의 對馬島 관음사 법당에 있는 동조보살두와 함께 봉안된 사실만 확인될 뿐이다. 1351-1382년 사이 5번에 걸쳐 왜구가 서산을 침략한 『高麗史』 기록을 통해 당시 왜구가 약탈해 간 불상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추정한 것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배경에 대한 여러 가능성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round western area of Japan, many Buddhist statues remain and are believed to move from Korea throughout from T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dynasty period. Various routes are believed for moving the statue. Among them, some of Buddhist statues were transferred in the point of cultural exchange in Three Kingdom period, some flowed out by Japanese pirates or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some were taken during Japanese imperial period. The seated Bronze Avalokitesvara statue at Gannonji(觀音寺) in Tsushima(對馬島) Japan is noticed as important product for knowing exact period and enshrinement location, and drew concern about circumstances of taking out while moving in Korea disgracefully recently.
    The various turma (hidden treasure; 覆臟物) inside the seated Bronze Avalokitesvara statue were unearthed in CE 1951, and a sentence about stature forming connection (佛像結縁文) was confirmed. The sentence read that monk Gaejin including 32 temple related monks in cooperation with ordinary people built the statue in CE 1330 for the memory of the lated parents at Busoksa(浮石寺) in Seosan Chungnam-province. Among many Buddhist statues remained in western Japan, it is known that the statue is unique product verifying enshrinement location as Busoksa in Seosan Chungnam-province. The statue is a superior product in formative arts demonstrating mild and stable feeling, showing regular features, gentle facial expression with tender smile, wearing cloth style and luxurious ornaments.
    Nobody knows when the statue located at Busoksa in Seosan Chungnam- province was moved and to Ganumsa temple in Tsushima Japan and enshrined into main building at the temple. No record is written about the cause and back ground for moving to Japan and moving rout. Only the record in the temple confirmed the statue along with bronze head Boddhisatva was enshrined into the existing present Buddhist temple in CE 1526. As the Goryeo History 『高麗史』 recorded 5 times raids during CE 1351~1382 by Japanese pirates, by observing periodical situation, one of the possibility is assumed that the statue was taken to Japan by the pir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