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연산군대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에 대하여 (A Study on the Dispatch of Geonjusamui of Dongcheongry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 in Jos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조선 연산군대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만주학회
    · 수록지 정보 : 만주연구 / 14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燕山君대 이루어진 童淸禮의 建州三衛 파견은 압록강유역의 渭原이 침입을 받은 것을 계기로 포로된 사람들을 쇄환시키고, 교섭을 통해 여진인들의 침입을 금지시키며, 향후 정벌을 대비하여 建州三衛 지역에 대한 도로와 지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동청례의 1차 파견은 1496년(연산군 2)에 실시되었는데, 약 12~13일 정도가 걸리는 여정이었다. 동청례는 ‘三衛敬差官’이란 이름으로 건주위(본위)를 직접 방문하여 추장 達罕과 좌․우위에서 보낸 사람들에게 위원 침입시 포로로 잡아간 사람들을 쇄환하고, 침입을 금지하라는 조선의 敎旨를 반포하였다. 그러나 건주위만을 방문하였을 뿐 좌위와 우위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으며, 잡아간 사람들의 쇄환을 약속받았지만 쇄환이 실제로 이루어지진 않았다. 다만 조선에 대한 침입을 금지하겠다는 약속을 받았고, 눈이 많이 쌓이는 관계로 급히 돌아오면서, 다음해 봄에 滿浦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였다. 그런데 만포에서의 만남이 이루어지지 않자, 건주삼위의 추장들은 書契를 보내 동청례의 파견을 다시 요청하게 되었고, 조선에서는 동청례의 건주삼위 재파견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다.
    결국 동청례의 2차 파견이 결정되어 1497년(연산군 3)에 ‘三衛宣諭官’이란 이름으로 약 20여 일 정도 건주삼위를 방문하였다. 2차 파견시에는 동청례를 영접하러 온 여진인들을 따라 1차 파견 회정 때 약속받았던 평탄한 지름길을 통해 건주위(본위)에 도착하였다. 도중에 여진인들이 설치한 방어시설을 볼 수 있었고, 위원에 침입한 金山赤下의 위협과 방해도 있었다. 그러나 건주위(본위) 達罕과 좌위 土老, 우위 甫化土(甫花土, 南華土) 등 건주삼위 추장들을 직접 대면하고, 각각에게 조선의 서계를 반포할 수 있었다. 삼위 추장들은 宣醞 및 물품을 받고 잔치를 벌여 동청례를 환영하였다. 이들은 조선에 대한 침입 금지를 약속하였고, 특히 달한은 동청례가 회정할 때 도로를 소상히 알고 가도록 하였다. 소정의 목적을 이룬 동청례는 포로가 되었던 조선인 3명을 돌려받고, 2백여 명의 여진인들의 호송을 받으며 돌아왔다.
    세조대 건주삼위에 대한 초무와 이에 대한 明의 간섭으로, 이후 양자 간의 관계가 중단된 것처럼 여겨왔지만, 세조대 이후에도 조선과 건주위와의 교섭은 계속 지속되었다. 성종대 平安道의 교통로를 개방하여 건주삼위의 통교를 받아들인 사실이나, 연산군대 동청례를 건주삼위에 파견한 사실들이 이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특히 연산군대 동청례의 파견은 조선의 여진에 대한 羈縻政策의 일단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기미정책은 여진이 後金으로 통합되는 과정까지 지속되었다.

    영어초록

    The dispatch of Geonjusamwi(建州三衛) of Dongcheongyre(童淸禮)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燕山君) was carried out to return the captives, to prohibit the invasion of the Jurchen by diplomatic communication, and to figure out roads and topographies in Geonjusamwi area for the future conquest taking the opportunity of the invasion of Wiwon(渭原) in the Amrok River basin.
    The first dispatch of Dongcheongrye was taken in 1496(2nd year of King Yeonsan’s reign), which took 12~13 days. Dongcheongrye under the title of ‘Samuigyeongchagwan(三衛敬差官)’ visited Geonjuwi(建州衛, Bonwi[本衛]) in person and distributed the edict of Joseon to return the captives during the invasion of Wiwon and to prevent invasion. However, he visited only Geonjuwi and failed to reach Jawi(左衛) and Wuwi(右衛). He got a promise of returning the captives, but no actual returning was made. He was promised not to make invasion to Joseon. And he hurriedly returned due to heavy snow promising to meet at Manpo(滿浦) in the next spring. When the meeting at Manpo was not kept, chiefs of Geonjusamwi requested the dispatch of Dongcheongrye by sending a letter, and there was another discuss to the re-dispatch of Dongcheongrye.
    At last, the 2nd dispatch was decided in 1497(3rd yeard of King Yeonsan’s reign) under the title of ‘Samwiseonyugwan(三衛宣諭官)’ for 20 days in Gyeonjusamwi. During the 2nd dispatch, they arrived at Geonjuwi(Bonwi) through the flat short-cut along with the Jurchen which was promised during the meeting in the first dispatch. They could see defense facilities installed by the Jurchen and there were also threats and intervention by Geunsanjeokha(金山赤下) who invaded into Wiwon. However, they could encounter chiefs of Geonjusamwi including Geonjuwi(Bonwi) Dalhan(達罕), Jwawi Toro(土老), Wuwi Bohwato(甫化土) and distributed the edict of Josen respectively. The Geonjusamwi chiefs welcomed Dongcheongrye by receiving gifts and goods and by hosting a party. They promised not to invade Joseon, and especially Dalhan introduced Dongcheongrye detailed road information. After achieving intended objectives, Dongcheongrye returned with 3 Joseon captives by the guard of 200 Jurchen people.
    It was regard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was halted due to the Chomu(招撫) on Geonjusamwi during the King Sejo(世祖) and the intervention of Ming of it, but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Joseon and Geonjusamwi continued thereafter. The facts that King Seongjong(成宗) accepted diplomatic relation with Geonjusamwi by opening the traffic roads of Pyeongando(平安道) and King Yeonsan dispatched Dongcheongrye demonstrated the continued relation. In particular, the dispatch of Dongcheongrye shows part of Gimi(羈縻, carrot and stick) policy toward the Jurchen, and such policy continued until the Jurchen was integrated by the later Ji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