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불교조각을 통해 본 百濟 彌勒寺의 佛像 (Buddhist Image of the Mireuksa Temple of the Baekche Period Seen Through East-Asian Buddhist Sculptur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0.08
36P 미리보기
동아시아 불교조각을 통해 본 百濟 彌勒寺의 佛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2권 / 43호 / 123 ~ 158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백제 무왕대에 세워진 미륵사는 동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대찰이었다. 따라서 미륵사 삼원의 금당에는 당시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불상들이 봉안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로 발굴을 통해 출토된 불교조각 유물은 매우 단편적인 후대의 유물 뿐이고 창건기의 불교조각의 면모를 알려줄 만한 유물은 희귀하다. 그 가운데 전불 보살상과 판불 천부 상, 소조 나발 등이 창건기 불교조각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전불 보살상은 입체적이고 양감이 훌륭한 조각으로 세부표현에서에서 일본 白鳳시대 보살상들과 유사점이 발견되는데, 백제에서 전불이 활발하게 제작되었을 개연성을 보여준다. 금동판불천부상은 금동번이나 천개에 매달려있던 장식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었다고 생각되는 금동제 투각 보상화문 장식과 여러 장식편들도 같은 용도도 금당 내부를 장식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륵사 서원 금당지와 서탑지에서 발견된 2종류의 소조나발은 창건기에도 소조불상이 봉안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서원 금당지 출토 대형 나발은 비록 후대 불상의 나발로 추정되어 오고 있지만, 창건기에도 이와 같은 대형의 미륵불상이 봉안되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미륵사의 가람배치는 발굴을 통해 삼원병렬식으로 이루어져 있던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삼국유사와 같은 문헌기록을 통해서도 뒷받침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삼원병렬식 가람배치는 南朝 梁代의 <미륵하생변상>에 보이는 ‘ 龍華三會’ 의 장면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미륵사 삼원 금당의 주존불은 모두 미륵불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 모습은 신라와 중국의 재명 미륵불상들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시무외여원인의 통인을 결하고 있는 일반적인 여래상 형식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식적으로는 익산 연동리 석불좌상(두부缺失)과 제석사지 폐기장출토 소조천부상 두부, 서산마애삼존불상의 본존불입상 등과 같은 7세기 전반의 불상들을 통해서 볼 때 양감이 넘치고 사실적인 조형감을 보이는 불상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료면에서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상정되나 지금으로서는 소조불상이었을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ireuksa temple, erected by King Mu(r. 600-641) of the Baekche period, was one of the biggest Buddhist temples in East Asia in the seventh century. The excavation of Mireuksa revealed its unique layout, composed of three monastery sections in parallel, each of which has a main hall and a pagoda. However, the Buddhist sculptures unearthed from Mireuksa temple-site were very few and all in fragmentary pieces, mostly dated later than the Baekche period. Among them, there are some artifacts that give us hints about Buddhist sculpture of Mireuksa temple at the time of its first construction during the Baekche period.
    The small tile of the Bodhisattva head, which shows a wonderful facial expression and three dimensional modeling, suggests that image tiles were popular in Baekche to decorate the walls of halls and roofed galleries. A small and thin giltbronze panel celestial image as well as thin gilt bronze pieces of flower patterns are presumed to have been parts of a canopy or a banner. The big and small spiral Buddha hair made with clay unearthed from the main hall site and the pagoda-site of the west section respectively, although the big ones are assumed to be later than the time of the first construction, suggest that the original Buddha images enshrined in the three main halls were most likely large enough to have spiral hair on their heads of at least 3.5cm in diameter.
    The ground plan of Mireuksa temple was found by the excavation to have been three sections arranged in parallel, which is also supported by the textual record of Samgukyusa. This unique temple-plan, which has not been found in any other East Asian countries,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Maitreya Buddha account of preaching three times after his enlightenment of the Yang Dynasty dated to the first half of sixth century, where a group of audiences gathering before Maitreya Buddha are represented three times. If such is the case, the central Buddha image of the three main halls of Mireuksa was most likely Maitreya Buddha, whose iconography was similar to that of Maitreya Buddha images of the Silla and Chinese Sixth Dynasties and Sui Period.
    From a stylistic point of view, the Maitreya Buddha images at Mireuksa might be compared to other Baekche Buddhist images of the seventh century, i.e. the stone seated Buddha image at Yeondong-ri, Iksan in its bulky body-form and elaborate carved halo, the clay head of the celestial image unearthed from the Jeseoksa temple site in its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 facial form, and the main Buddha image of the Seosan Buddha triad in the way of wearing garments and hand gesture (mudra) represented.
    A number of clay sculpture pieces discovered at the site of the main halls imply the possibility that Buddhist images in the halls were more likely made of clay than any other material, which is supported by pieces of clay sculpture also from the early seventh century excavated from the Jeseoksa temple-site near Mireuksa showing advanced techniques of clay sculpture, overlapping multiple layers to make a large clay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