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탄허의 학술과 회통론 - 근세 동아시아의 유학으로 본 - (Tan-heo’s Learning and Theory of Hoitong(會通論) - Focusing on Confucianism of Early Modern East Asia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6
40P 미리보기
탄허의 학술과 회통론 - 근세 동아시아의 유학으로 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31호 / 191 ~ 230페이지
    · 저자명 : 이원석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근세 유학의 관점에서 탄허의 학술과 회통론을 고찰한 것이다. 탄허는 청정한 본래 부처님의 마음이나 일심(一心), 그 본체인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중시하는 불교적 심성론(心性論)과 평등인간관을 설파하고, 근기에 따른 수행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여기에 기반하여 유(儒)⋅도(道)와 회통하였으나, 주자학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양명학에 대한 영향은 매우 강하였다. 그는 지행합일로 실천을 강조하며 양지(良知)와 불교의 영지(靈知)나 화엄의 보광명지(普光明智)와 회통하였다. 특히, 그의 학술에는 명대 양명학 좌파 왕간(王艮)의 조명설(造命說)과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도 보인다. 반면에 청대 고거학(考據學)의 영향은 경문과 주소의 통합적 이해, 선지와 결합된 자득(自得)의 강조, 소학적 접근법, 연구 성과의 이용에만 머물렀다.
    탄허의 삼교회통론은 보천교에서 비롯되었다가 불교의 화엄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그 논리는 종지⋅뿌리⋅근원⋅귀일(歸一)⋅무애(無碍)를 중심으로 삼았지만, 순자(荀子)와 소옹(邵雍), 명말의 삼교합일 등 중국의 영향도 확인된다. 이에 따라 탄허의 학술은 ‘불도’나 ‘도’로의 지향성이 결정되었다. 탄허의 회통적 학술은 재야적⋅민족적⋅자득적 경향이 강하며 근세 중국과 비슷한 흐름이 확인된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an-heo’s Learning and Theory of Hoitong(會通) in the view of Confucianism of Early Modern East Asia. Tan-heo suggested the Buddhist Philosophy of Mind which put emphasis on the Buddhist mind, One Mind(一心), or Real-Self-Nature(眞如自性) as its first principle, the view of equality on human beings, and the discipline method following these. Based on this, Tan-heo united Confucianism and Taoism but has critical attitude on the Neo-confucianism.(朱子學) However, he received a tremendous influence from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Emphasizing the practice of the theory of Knowledge and Action Unity(知行合一說), Tan-heo integrated Theory of Yangji(良知) with Gnosticism(靈知) of Buddhism and the Clear Knowledge and Universal Illumination(普光明智) of Hwaeom(華嚴). Especially, the Theory of Own Fate(造命說) by Wang-keun(王艮) and the Theory of Innocent Mind(童心說) by Yi-ji(李贄) could be found in Tan-heo’s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Philology during the Qing Dynasty remained only in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Buddhist scriptures and its interpretation, in the emphasis of self-awareness(自得) coupled with Revelation(禪旨), in the Sohak(小學)-based approach, and in the application of its research results. Theory of Hoitong of Three Teachings(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originated in Bocheongyo(普天敎) and finally transformed into Hwaeom in Buddhism. It took emphasis on tenets, roots, origin and Gwi-yil(歸一), and Moo-ae(無碍) but he also seemed to be affected by China, such as Hsun-tzu(荀子) and So-ong(邵雍), and the Theory of Consilience of Three Teachings(三敎合一論) in the late of the Ming Dynasty. Therefore, Tan-heo’s learning aimed at the Buddhist Doctrines(佛道) and Tao(道). The learning and theory of hoitong by Tan-heo is highly valuated not only in the point of strong tendency toward nongovernmental, national, and self-aware thought but also in the process of scholarship of Early Modern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