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7사변이후 《동아일보》의 시국인식과 전시대응 (The Dong-a Ilbo’s Situational Awareness and Wartime Responses after the Marco Polo Bridge Incident)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05
27P 미리보기
7·7사변이후 《동아일보》의 시국인식과 전시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92호 / 191 ~ 217페이지
    · 저자명 : 이재령

    초록

    이 글은 1937년 7월 蘆溝橋사건 이후부터 1940년 4월 강제 폐간될 때까지 《동아일보》의 기사를 통해 중일전쟁시기 한국언론의 시국인식과 전시대응, 對中國觀 등을 파악한 것이다. 滿洲事變 이후 계속된 전시상황은 일본의 경제위기와 사회불안을 가중시켰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일본은 중국침략을 서둘렀는데 1937년 7월 7일 노구교사변을 계기로 삼았다.
    중일전쟁은 처음부터 일본의 치밀한 계획아래 준비, 진행되었고 조선총독부의 대응도 마찬가지였다. 우선 국내의 정치 동요나 사회 혼란을 우려하면서 유언비어 유포 및 경제 문란과 무질서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였다. 《동아일보》는 臨政 및 朝鮮義勇隊가 중국군과 함께 항일투쟁에 나서고 있음을 보도하였다. 또 서양 각국의 동향과 중국의 대응을 주목했는데 대내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외여건의 변화 곧, 영국·미국의 참전을 기다리겠다는 중국전략을 간파하였다. 《동아일보》의 전쟁기사는 전황 및 전망에 대한 한인들의 호기심과 독립의지를 불러일으켰다. 이 때문에 조선총독부는 국내외 독립운동의 불길이 되살아날까 우려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일본은 開戰과 동시에 만주사변처럼 단기간 내에 중국의 타협을 끌어내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난징정부는 신속한 무력대응과 전면 항전 의지로 맞섰다. 당혹한 일본은 더 이상의 擴戰과 제삼국의 개입을 차단하려 했으나 결과는 달랐다. 장기전, 전면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일본의 전쟁역량은 한계가 뚜렷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언론매체와 시국강연회를 통해 국방헌금, 승전기원 홍보, 전시체제의 구축 등을 연일 강조하고 나섰다. 이때 《동아일보》 논조는 중국의 장기항전에 대한 장기응징이란 즉자적 반사 대응보다 장기건설에 초점을 맞추었고, 전쟁발발 1년 만에 한국은 최대의 희생물로 전락하였다.
    1940년대 들어서 중일전쟁이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동아일보》는 일본의 對蘇 전력소모와 중일전쟁의 장기화로 원래 목표였던 동아신질서 건설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렇지만 식민당국은 제삼국의 간여를 배격하면서 관민일체와 전시총동원체제를 강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등이 폐간되어 식민지 민영언론의 종언을 고하였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to grasp the Korean media’s situational awareness, wartime responses, and perspectives on Chin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period depending on the Dong-a Ilbo’s articles from the Marco Polo Bridge Incident in July, 1937 to its enforced discontinuance in April, 1940. The continuous waring situation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 aggravated Japan’s economic crisis and social unrest. In order to resolve them, Japan hastened the invasion toward China, and the Lugou Bridge Incident on July 7, 1937 became the momentum.
    The Sino-Japanese War was prepared and progressed under Japan’s precise plans, and the respons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ere the same. Priorly,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concerned about domestic political disturbance and social unrest, and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the spread of false rumors, the economic disorder, and the disorderly acts. The Dong-a Ilbo reported tha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along with Chinese army got involved into the anti-Japanese resistance. Also, the newspaper paid attention to the trends in Western countries and China’s responses, so read through China’s strategy waiting the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which was the UK’s and the US’s participation into the war, despite the internal difficulties. The Dong-a Ilbo’s war articles raised Koreans’ curiosity about the war situation and prospects, and their will for independence. For the reason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ight revive internally and externally, so it strictly responded to them.
    Japan intended to derive China’s compromise within a short term from the burst of war, just like the Manchurian Incident. However, unlike its prediction, the Nanjing government resisted with quick military responses and will of full-scale war. Bewildered Japan tried to block further expansion of the war and third-party intervention,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id the vortex of long-term and full-scale war, Japan’s war capabilities were clearly limite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mphasized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s, the promotions for the victory-prayer, and the establishment of wartime system through media outlets and lectures on the situations. At that time, the Dong-a Ilbo focused more on long-term construction than on the immediate response of long-term punishment against China’s long-term resistance; and within a year of the outbreak of the war, Korea became the biggest victim.
    Entering into 1940’s, the Sino-Japanese War extended throughout the Asian-Pacific region. The Dong-a Ilbo predicted that it would not be easy to reach the original goal of East-Asian new order due to Japan’s military strength consumption against the Soviet Union and the prolonged Sino-Japanese War. However, the colonial authorities rejected the involvement of third countries, and strengthened the unity between government and people and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Within this process,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were enforced to cease their publication, thus colonial private media came to an 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