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서양 고대 신화와 철학의 ‘天' 개념의 기원과 특징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Heaven' in Eastern and Western Myths and Philosoph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06
24P 미리보기
동서양 고대 신화와 철학의 ‘天' 개념의 기원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6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장영란

    초록

    서양에서는 천(天)의 개념과 신(神) 개념이 비교적 빨리 분화가 되어 독립되어 사용되었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초기에 천 개념이 신(上帝)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후대에도 천과 신은 교체 가능한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래서 천 개념이 어떻게 신 개념과 연관되어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우선 ‘천’의 현상과 법칙과 관련하여 인간은 현상적으로 하늘을 반복적으로 바라보면서 우주의 법과 자연의 질서 등의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고대 그리스 종교의 하늘 신들은 각기 ‘자연천’을 비롯해 ‘인격천’ ‘주재천’, ‘도덕천’의 특징을 드러내며 ‘운명천’의 기능은 독립적이다. 동아시아에서도 하늘은 자연적 대상으로서 물질천의 특징이 먼저 등장하고 천체의 운행과 질서를 설명하는 ‘자연천’이 등장하지만 ‘주재천’의 특징과 중첩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 ‘천’의 근원과 본질과 관련하여 하늘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대상이면서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 대상이기도 하다. 하늘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하여 하늘에 대한 인격화 및 신격화를 통해 형성하여 하늘 신 개념이 형성된다. 동아시아의 ‘천’도 인격성과 주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서구의 그리스 종교와 유대-그리스도교와 비교하여 인격천으로서의 특징이 매우 약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천’의 기능과 역할과 관련하여 하늘 신은 우주의 자연 ‘질서’와 ‘법칙’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법’과 ‘도덕’의 지배자의 기능을 한다. 고대 그리스종교에서 하늘 신은 윤리적 주체로서 성격이 약화되어 보이지만 그리스 철학에서 특히 플라톤에 의해 강화된다. 동아시아의 중국 도덕천의 개념에서 은과 주 왕조에는 덕복일치와 길흉화복과 관련된 도덕적 주체로서 등장하지만 후대에는 약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덕적 주체로서 ‘천’ 개념이 약화된 것은 동서양에 공통적으로 덕복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현상을 인식하면서이다. 그렇지만 동서양 모두 좋은 삶을 위한 영혼의 훈련과 수양의 개념이 발달되어 있다.

    영어초록

    In the West, the concept of Heaven(天) and the concept of God(神) differentiated relatively quickly and were used independently. But in East Asia, the concept of Heaven(天) was initially used closely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God(上帝), and in the later generations God is also interpreted as replaceable. So we can see how the concept of Heaven(天) wa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God. First of all, with regard to the phenomena and laws of 'Heaven', humans repeatedly look at the sky and form concepts such as the laws of the universe and the order of nature. The sky gods of the ancient Greek religio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eaven”, “Personal Heaven”, “Ruling Heaven”, and “Ethical Heaven”, respectively, and the function of the “Fate”(運命) Heaven is independent. In East Asia, the sky is a natural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Heaven first appear, followed by the ‘Natural Heaven’ that explains the operation and order of the celestial body, but overlaps with the ‘Ruling Heaven’. Next, with regard to the origin and essence of the “Heaven,” Heaven is a concrete and physical object, and a transcendental and metaphysical object. In East Asia “Heaven” also have personality and subjectivity. However, compared with ancient Greek religion and Jewish-Christianism,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 of personality is very weak. Finally, in relation to the function and role of ‘Heaven’, the Heavenly God is the God who governs the natural ‘order’ and ‘law’ of the universe, and functions as the rulers of ‘law’ and ‘moral.’ In ancient Greek religion, the Heavenly god as an ethical subject seems to be weakened, but to be strengthened by Plato. In East Asia, it appears as a moral subject in relation to the unity of virtue-moral good(德福一致) in the Eun and the Zhou Dynasty, but seems to be weakened in the later generations. As a moral entity, the concept of "Heaven" has weakened, recognizing the phenomenon that virtue-moral good do not coincide in the East and West. However, both East and West have developed the training of the soul and self-cultivation(修養) for a good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