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굴암 석굴 重修上棟文(1891) 연구-譯註를 겸하여- (A Study of Commemorative Text from the Restoration of Seokguram Grotto (1891)- With Annotations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3
48P 미리보기
석굴암 석굴 重修上棟文(1891) 연구-譯註를 겸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7호 / 319 ~ 366페이지
    · 저자명 : 최영성

    초록

    석굴암 석굴 관련 옛 기록은 매우 적다. 중수(重修)와 관련된 자료가 거의 없다시피 하여 원형과 변형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1891년에 있었던 중수 불사(佛事)의 내력을 적은 상량문의 가치는 여러 면에서 높다. 이 상량문은 1910년대 조선총독부에서 대대적으로 수리 복원하기 이전의 석굴의 모습을 가까이서 살필 수 있는 자료다. 오늘날까지 열띤 논란이 있는 석굴의 원형에 대해 답을 줄 수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 상량문을 소홀히 여기거나 무시하여 왔다. 상투적이고 과장된 표현이 많다는 이유로 연구에 별로 이용되지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 자료의 전문(全文)을 자세하게 번역하고 주해(註解)하여 학계의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또 내용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1891년의 중수 불사의 성격과 양상, 그리고 1891년 이전의 석굴 원형에 대해 그 해답을 제시하려 했다. 학계의 뜨거운 논쟁거리인 석굴 입구의 목조전실(木造前室)의 원형적 근거에 대해서도 필자의 견해를 밝혔다. 이 상량문의 내용은 논쟁을 해결할 수 있는 열쇠라 하겠다.

    영어초록

    Few ancient records about Seokguram Grotto in Tohamsan Mountain survive to this day. As there are few records about restorations, it is difficult to know much about the original form and variations thereof. Thus the value of commemorative text, which accounts the restoration of 1891, is significant. It is the source which allows us to get the most accurate idea of how Seokguram looked before the invasive restoration of the 1910s by the then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is may go some way to provide an answer to the heated exchanges on the original form of Seokguram grotto. So far, the academic world has largely neglected or undervalued the commemorative text; it was deemed that the text suffered from clichés and exaggerated expressions. This paper translates the full text in detail and provides annotations and comments in order to facilitate a serious academic study. Also, through an accurate analysis of its content, the author also tries to offer an answer with regards to the nature and conditions of the 1891 restoration as well as the original form of the grotto before 1891. The author also proffers a view on the much- disputed original form of wooden ante-room at the entrance to the grotto. The commemorative text provides a key to resolving many of disagreement surrounding the grot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