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8세기 동아시아 연유와전 제작기술의 확산과 의의 (A Study on the Diffusion and Significance of Lead-glazed Tiles Manufacturing Technology in East Asia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7~8세기 동아시아 연유와전 제작기술의 확산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와학보 / 4호 / 6 ~ 31페이지
    · 저자명 : 이지희

    초록

    隋‧唐代에는 ‘律令格式’이 완성되면서 대규모에 토목공사인 ‘營繕’이 국가에 의해 체계적으로 관리되었다. ‘營繕令’에 따라 조영된 宮殿은 당시 최고의 건축물이다. 동아시아에서 연유와전은 황제와 왕이 머물고 정치와 의례를 하였던 공간인 궁전의 표식유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7~8세기에 동아시아의 궁성유적을 중심으로 발견되고 있는 연유와전의 확산과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동아시아에서 연유와전의 유적출토양상과 제작방법의 상호비교는 궁성과 사찰에서 출토되고 있으며, 유약배합과 시유방식에서 유사성이 확인된다. 차이점은 지붕 위에 올라가는 기와의 종류와 유약의 종류에서 다르게 적용되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연유와전이 가지고 있는 성격, 즉 중국 황제의 궁전을 장식하는 ‘황제의 전용와’라는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아시아에서는 당나라의 율령이 도입되어, 이를 근거로 도성과 궁전을 조영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신라에서 唐律은 유적에서 출토된 장인과 연호명이 새겨진 명문기와를 통해 7세기 후반에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唐律은 周나라의 三禮에 따라 격식과 제도를 완벽하게 표현한 이상적인 법률이다. 하지만 신라가 수용한 唐律은 진골의 가옥에 대한 많은 규제를 설정한 『三國史記』 屋舍條의 기록과 같이 唐에 비해 훨씬 현실적인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신라의 연유와전이 도입된 시기는 김춘추가 唐으로부터 연호, 의복, 아홀 등의 唐制를 수용한 650년경으로 추정된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을 위한 모든 전쟁이 끝나는 시점인 679년에 동궁과 월지를 비롯한 궁전의 지붕에 녹색의 연유기와를 장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During the Sui and Tang Periods(隋‧唐代), large scale engineering works, ‘Ying Shan (營繕, Construction and Repair),’ were systematically managed by the government with the completion of ‘Lu Ling Ge Shi (律令格式, The Four Law Forms).’ The palace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Ying Shan Ling (營繕令, Building and Repairs Statutes) became the best buildings at the time.
    In East Asia, lead-glazed tiles were the materials that marked the spaces where emperors and kings stayed, managed state matters, and held ceremonies. This study discussed the spread and meaning of lead-glazed tiles, which are discovered in the remains of palaces and fortresses in East Asia from the 7th and 8th centuries.
    In East Asia, lead-glazed tiles are excavated in palace, fortress, and temple sites and similarities are found in terms of how the glaze is mixed and applied. Th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ype of tiles laid on the roof and the type of glazes. The difference is presumed to have been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glazed tiles, which are the ‘emperor's exclusive roof-tiles’ used to adorn the imperial palace.
    The Tang Code was introduced to East Asia,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the capital city and palaces were built based on the code. The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of the maker and era name indicate that the Tang Code was introduced around the 7th century. The Tang Code(唐律) is an ideal code which perfectly expresses the formality and system according to San Li (三禮, 7~8세기 동아시아 연유와전 제작기술의 확산과 의의∣이지희 31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