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명동유적을 통해 본 심발형토기의 출현의의 (The significant emergence of pottery shaped as deep bowl throughout BongMyeong-Dong sit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06
23P 미리보기
봉명동유적을 통해 본 심발형토기의 출현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8호 / 65 ~ 87페이지
    · 저자명 : 김일규

    초록

    이 글은 청주 봉명동유적 출토 중도식소옹과 심발형토기의 형식분류와 역연대를 설정하여, 중도식소옹의 종언과 심발형토기의 출현 의의를 검토한 것이다. 형식분류와 역연대 설정의 결과 봉명동유적의 분묘는 7단계로 구분되는데 4세기 전반에 조영이 시작되어 5세기 후반까지 계속된다. 4세기전반 분묘조영 시작단계의 중도식소옹과 타날단경호의 조합상은 4세기 후반이 되면 심발형토기의출현과 함께 도질소문단경호, 기승용마구의 조합으로 변하고, 5세기 전반이 되면 중도식토기는 완전히 종언을 고한다.
    심발형토기는 중도식토기의 형식학적 변화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아닌 다른 별개의 계열이다. 그러므로 중도식토기에 타날속성이 채용된 시점과 심발형토기의 출현시점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심발형토기 출현시점과 동시에 나타나는 새로운 유물조합을 백제 권역에 포함된결과로 파악하였다.
    중도식토기의 소멸은 백제 한성양식기종구성의 완비시점과 관련시켰다. 그런데 청주지역에서는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기존의 심발형토기의 유물조합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조합상이 계속되는 것에서 백제의 권역화 과정의 일면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excavated materials, which are Jungdo Style pottery and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from BongMyeong-Dong site in Cheongju of their type classification and setting-up the absolute age. Through these data,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end of Jungdo Style pottery as well as the beginning of the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ype classification and setting-up the absolute age,tombs from BongMyeong-Dong site can be divided into seven levels which were started to build from early 4th century and carried on to the end of 5th century. At the beginning stage of tomb building in early 4th century, the combination of Jungdo Style pottery and coiling and paddling patterned short necked jar were changed their style along with the birth of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and the combination of the non-patterned ceramic short necked jar,horse harness i.e. bit, stirrup, etc. in late 4th century. When it goes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Jungdo Style pottery finally come to an end.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did not appear in the type process of the Jungdo Style pottery but a different affiliate. Therefor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starting point of the application of the coiling and paddling pattern in Jungdo Style jars and the appearance of the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were not always coincided. Moreover, it was grasped that the newly discovered relics composition which were concluded as a result of inclusion in Baekje area that appeared at the same time as the appearance of the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The extinction of Jungdo Style jars were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the potteries composition and formation in Hanseong Baekje. However, these phenomenon did not appeared in Cheongju area but not many differences with the existing pottery shaped as a deep bowl composition. Through these continuous composition, it is recognizable for us to face the procedure of Baekje power sp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