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경 거주 한인 가족의 동아시아 이주궤적과 가족전략 (Migration Trajectory and Family Strategy of a Korean-Chinese Family in Beijing, Chin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06
36P 미리보기
북경 거주 한인 가족의 동아시아 이주궤적과 가족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39호 / 337 ~ 37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초록

    이 연구는 식민지기와 신중국 설립 전후, 일본과 만주, 연변을 거쳐 북경에 정착한 한인 가족이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탈국가적 이주 흐름에 있어 어떻게 선도적으로 대응하였는지, 그들의 이주궤적과 적응전략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의 시공간을 재구조화했던 거시적 변화―태평양전쟁부터 한국전쟁, 문화혁명, 한․중 수교 및 글로벌라이제이션―을 둘러싼 사건들이 미시적 생활세계와 개인 경험을 구성함에 있어 어떻게 작동하였는지 그 구조-행위의 역동성을 ‘가족’의 분석단위를 통해 접근하려 했다. 방법론적으로 첫째,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생애/구술사 면접을 통해, 그들의 이동 경로와 패턴을 재구성해봄으로써 이주의 성별화된 경로를 국내 및 국제 이주의 이중 층위에서의 지도화(mapping)했으며, 둘째, 차이에 기반한 다양한 에스닉 그룹들을 국가연합체의 범주에 포획시키려는 신중국의 문화정치학 속에서 어떻게 고급 조선어 구사력이 연변에서 북경으로의 이주과정에 있어 중요 수단이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남한에서 북경 보통어가 새로이 자원화되는 맥락 분석과 더불어 마지막으로, 국가 경계를 넘어 동아시아에 산재한 가족 구성원들의 탄력적 네트워킹이 어떻게 세대 재생산과 계층이동에 있어 물적 토대가 되었는지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리도영 가족의 4대에 걸친 사적 역사를 기록하고 재조명함으로써, 삶의 연속성과 경험을 이주민들 스스로 어떠한 방식과 맥락에서 인식하고, 재구성하는지 그들의 관점과 해석체계에 천착해 20세기, 한인의 동아시아 이주의 특징을 포착하려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look at transnational experiences, adaptation strategies and transformations in family structure of a Korean-Chinese family who migrated to Beijing in the early 1950s. Methodologically, it enables us to show the intersection of macro-level historico-social transition in East Asia--such as the Pacific War, the Korean Wa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establishment of Korea-China relations, globalization--and micro-level transitions in the daily life of families. In addition, utilizing oral life-history methods to study Korean migrant families makes it possible to historicize how this intersection played a role in interweaving family members’ lives in terms of ethnicity, gender, generation, and nationality.
    The importance this study includes: first, the re-writing and gathering of information about the rapidly-increasing migration of Korean Elite groups into other Asian countries. Because this study targets the oral life histories of Korean first-generation migrants who crossed over the national boundary before globalization, it will aid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and issues surrounding international migra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Beijing area in the late 1940s. Also, this study will serve to illustrate the life trajectories of Korean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racing Lee Do-Yeong(age 91) and Kim Jeong-Suk(age 84) who experienced studying in Japan and subsequent exposure to Communism.
    Second, this study selected interviewees who are couples in order to look at gender difference in the meanings the subjects creat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at women’s oral life history is another way to reveal the unexposed―compared with men’s― experiences of Korean migrant women in the field of official history writing.
    Third, this study deals largely with Asia; narrowly, with Beijing,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socio-economic mechanisms which reconstituted hierarchies of gender, class, and regionality in constructing Koreanness in connection with ethnicity and language within the multiple-ethnic country,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