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동아시아 사리장치에 표현된 건축의장요소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corative Expression of the East Asian Buddhist Reliquaries in the Ancient Period)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0.06
8P 미리보기
고대 동아시아 사리장치에 표현된 건축의장요소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3호 / 111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상태

    초록

    동아시아의 문화는 불교의 전래로 인하여 하나의 문화권으로 연결되었다. 특히 불상과 더불어 탑의 전파는 고대 동아시아 미술사와 건축사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탑 내부에 안치되는 사리장치는 불사리의 안치도구로 주로 미술사 분야에서 장식을 중점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건축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사리장치의 여러 분류 중 보장형사리기는 건축형태를 묘사한 경우로 당시의 건축구조 및 형태연구에 매우 중요한 사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형식인 보장형 사리장치를 통하여 7·8세기의 동아시아 건축형식과 의장 및 장식 적용과 표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사리장치를 통한 건축연구는 건축유구이외에 미술사적 연구를 통하여 연구 분야의 다양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연구결과의 보편성을 추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고대의 동아시아 삼국을 대표하는 보장형과 관곽형의 사리장치와 주자로, 통일신라의 송림사 금동사리장치와 감은사 동탑사리장치, 당의 법문사 지궁 중실 한백옥영장과 경산사 사리내함, 일본의 당초제사 사리전, 그리고 법륭사 옥충주자 등 총 6기의 사리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의의를 바탕으로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1. 고대 동아시아 사리장치의 유형 분류는 호합형, 상자형, 보장형, 관곽형, 다각당형, 그리고 탑형으로 분류한다.
    2. 보장형과 관곽형 사리장치는 건축의 상장과 전각을 형상화하였으며, 고대 왕과 귀족이 사용한 상(床)과 가마를 형상화 하였고, 불전의 수미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불사리를 부처로 환원하여 부처가 기거 혹은 좌정하는 공간이며, 불상을 모신 전각을 축소하여 공예화 한 것이다.
    3. 송림사 금동 사리장치와 감은사 동탑사리장치는 전각을 충실히 표현한 보장형 사리장치으로, 지대, 기단면, 상대의 기단부와 4개의 기둥으로 한정한 내부공간의 벽체부, 이중의 천개와 여러 장식을 통한 지붕부 등을 완벽하게 표현하였다. 불사리를 부처와 동격으로 하여 사리장치 또한 부처가 기거하는 공간으로 생각한 통일신라인들의 이상적인 불교관을 잘 나타내고 있다.
    4. 당시대의 법문사 지궁 중실 한백옥영장은 보장형사리장치로 대리석으로 조각하였으며, 경산사 사리내함은 보장형과 관곽형을 적절히 혼합하여 나타낸 사리장치로 사리를 보관하는 관함은 죽은 이의 관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였다. 중국인들의 현실적인 종교관을 적절히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일본의 당초제사 사리전은 다른 보장형 보다 늦은 시기에 제작한 사리장치로 통일신라 감은사지의 사리장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법륭사 옥충주자는 다른 5기의 사리장치보다 완벽한 전각(불전)형의 형태와 의장을 보여 주고 있다.
    6. 고대 중국의 사리장치는 현실적인 종교관의 표현을, 신라는 형이상학적인 불교의 이상세계를 묘사하였으며, 일본은 중국과 신라의 특성을 모두 수용하여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reliquaries of these 6 Reliquaries(松林寺, 感恩寺, 法門寺, 慶山寺, 唐招提寺, 法隆寺 玉蟲廚子), when compared with those of China, Japan and Korea in the same period, they worshiped the Buddhist reliquary as a Buddhist God itself and put them as a part of the architectural decoration, being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forms. In the form and the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e, we can see those having been designed with very detailed and brightly decorated form. The Buddhist reliquaries in the Song-Lim-Sa, Kam-Eun-Sa, Fǎménsi, Qingshānsi, Toshodaiji, and the Horyuji Tamamushi Zushi, the most important ones in this research, were in the precious tent and the inner and outer Coffins shapes having completely the altar part, interior space part, and the ceiling part, which inform us the whole structure of the architecture in details. After all these researches, we conclude that the Buddhist reliquaries in form of the Treasure-architecture represented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same period as a form of industrial arts and we can see that they tried to use all of their highly skilled and talented methods to describe the Buddhist Pure 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