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기호문토기 고찰 - 경주 노동동 12번지 유적을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on Silla Potteries with Symbol Inscription - Focusing on the historic site in Gyeongju Nodong - dong 12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06
21P 미리보기
신라 기호문토기 고찰 - 경주 노동동 12번지 유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16호 / 85 ~ 105페이지
    · 저자명 : 손명순

    초록

    경주 노동동 12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133점의 기호문토기를 시문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본 결과 날카로운 도구로 깊게 새긴 형태의 기호문이 103점(77%)이며, 토기의 기종은 단각고배(50점)와 뚜껑(24점)이 많다. 기호 가운데에는 ‘⌗’(33점)이 가장 많으며, ‘山’字와 유사한 유형의 기호와 특정 기종을 중심으로 시문된 기호가 출토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호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기왕에 경주지역에서 기호문토기가 출토된 유적 가운데 28개 유적의 기호문토기 619점과 함께 검토를 시도해 보았다.
    경주지역에서는 4세기 고분유적에서 기호문토기가 처음 출토되었으며, 6세기 후반 이전까지는 주로 고분유적 출토 고배와 뚜껑을 중심으로 기호가 시문되었다. 기호 가운데 ‘×’, ‘Λ()’, ‘⌗’은 일찍이 삼국시대부터 지역에 관계없이 고분유적 출토 토기에 시문되었으며, 특히 ‘×’와 ‘⌗’은 월성해자를 비롯하여 생활유적 출토 토기에도 지속적으로 시문되었다.
    6세기 후반 이후부터 월성해자를 비롯한 생활유적에서는 고배와 뚜껑은 물론이고 대부완, 완, 시루, 옹 등 토기의 기종이 다양해졌다. 기호의 종류도 ‘⌗’, ‘×’, '大‘, ‘山’字와 유사한 유형을 비롯하여 시루, 동이, 옹 등 큰 기종에만 시문된 기호 등 다양해졌다. 이러한 현상은 토기의 대량생산과 분업화, 그리고 공인(집단)의 증가로 인해서 기호의 기능이 확대된 양상으로 추정된다.
    7세기 후반까지는 문양과 기호가 함께 시문되기도 하였으나 밀집시문 등 인화문이 유행하면서 기호의 시문은 쇠퇴한 듯하다. 이후 기호는 토기제작과정에서 표기하기보다는 소비처에서도 표기가 가능한 墨(朱)書나 토기 저부에 얕게 긋는 형식으로 시문수법이 변화되어 명맥을 유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An analysis of the 133 pairs of potteries with symbols which have been excavated from Nodong-dong 12 in Gyeongju has put in three types by their inscriptions, and found that 103 pieces (77%) have symbols inscribed with a sharp tool, and that the types of potteries are mainly short foot mounted cups (50 pieces) and lids (24 pieces). Among the symbols the ‘井’ is the most (33 pieces), the symbol similar to the character ‘山(mountain)’, and some symbols inscribed are specific to the pottery type.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n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s inscribed in the 619 pieces of potteries which have been excavated from 28 sites in Gyeongju.
    In Gyeongju region the first symbol inscribed pottery wa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site of the fourth century, and before the late sixth century the symbols were inscribed mainly in mounted cups and lids. The symbols ‘X’, ‘Λ()’ and ‘井’ were inscribed as early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regardless the regions.
    From the late sixth century in the dwelling sites including the Weolseong Moat there were various potteries found such as mounted cups, footed bowls (Daebuwan), steamers (Siru) and jars. The symbols also became diverse: ‘井’, ‘X’, ‘大’, and a symbol similar to the character ‘山'. The symbols inscribed on large potteries such as pots and jars became diverse too. These phenomena can be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potteries, division of labor and the expansion of public (group), which led to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s of symbols.
    Until the late seventh century patterns and symbols were inscribed together, however, with the popularity of stamped designs and dense patterns the inscription of symbols seemed to be declined. After that, symbols were not inscribed at the pottery production stage, rather they were marked at the consumption places with a black (red) ink writing or with a shallow draw at the bottom of the pottery. This change seems to keep the tradition of inscribing in potteries remain in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