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수이둥거우(水洞沟)유적의 성격과 특징 (The Characteristis and Siggnificance of Shuidonggou Upper Palaeolithic site in Chin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6
22P 미리보기
중국 수이둥거우(水洞沟)유적의 성격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35호 / 59 ~ 80페이지
    · 저자명 : 최철민, 펑페이(彭菲), 까오싱(高星)

    초록

    본고는 중국 영하회족자치구(宁夏回族自治区)에 위치하는 수이둥거우(水洞沟, SDG) 유적의 특징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중국 북방 지역 후기 구석기시대를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이둥거우 유적은 1923년 중국에서 처음 확인된 구석기 유적으로 단구, 황토 고원과 같은 지형 환경, 석기 제작 기술 및 기원 그리고 수렵채집민이동 및 환경 적응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수이둥거우 유적군에서 모두 12개 지점이 발굴조사 되었다. 과거에는 처음 확인된 1지점을 중심으로연구되었으나 최근에는 2지점에서 매년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자료가 확인되고 있다. 그 외 지점들은 조사기간 및 면적에 있어서 소규모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1, 2지점과 비교하면 자료가 빈약하다.
    수이둥거우 유적의 단구 및 지층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마다 의견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유적군이 제2단구에 분포한다는 것과 플라이스토세 후기 늦은 시기에 형성된 황토층에서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이 출토되고 홀로세 시기에 형성된 하천 퇴적층에서 신석기시대 유물층이 확인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반면 각 지점마다 석기 유형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1, 9, 12지점에서는 돌날 또는 잔돌날 유형이 나타나고그 외 지점에서는 작고 불규칙적인 격지, 잔손질 도구와 같은 중국 북방 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 특징이 나타난다. 수이둥거우 유적군에서는 이러한 석기 유물뿐 만 아니라 다량의 타조알조각을 투공한 장식품도 확인되며 고인류가 불을 사용한 유구 주변에서는 동물뼈가 다량으로 출토되기도 한다.
    유적군 연대값에 있어서 측정 방법과 표본의 차이로 불확실한 점은 존재하지만하층 유물층이 후기 구석기시대 유물층이라는 것에는 논쟁이 없다. 수이둥거우 유적군의 대략적인 유물층 시기는 3만 5천 년 전에서 2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최근 한반도와 북중국 지역에서 새로운 돌날 및 잔돌날 관련 유적이 꾸준히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돌날 제작 기술의 기원 및 현생인류의 확산을 직접 설명할 수 있는 증거가 많지 않다. 따라서 중국에서 확인되는 구석기시대 자료를 활용한다면 넓은 공간적 배경에서 두 지역의 비교 연구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당시의기후 환경, 수렵채집민의 이동성, 유물 분포 범위 등과 같은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huidonggou site, which is located at the Ningxia Autonomous Region of China, and to understand the Upper Paleolithic in North China. The Shuidonggou site was first discovered in China in 1923, an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date including the lithic manufacturing techniques,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such as loess plateaus, mobility of hunter-gathers; and adaptation to environment. So far, all 12 localities have been excavated. In the past, SDG1(locality 1) was given focus, but recently, excavation has been conducted mainly in SDG2(locality 2) every year. Although there is a disagreement among the topographical researchers of the Shuidonggou site, there is no dispute as to how the sites were distributed on terrace 2(T2), how the Upper Paleolithic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loess layers in the late Pleistocene period, and how the Neolithic artifacts were found in the river sediments during the Holocene period.
    There is a different lithic assemblage for each locality. Blades and microblades assemblages appear in locality 12.
    In other localities, the features of the Upper Paleolithic of North China appear such as small, irregular flakes, and retouch tools. Not only these lithic artifacts, but ornaments made by piercing a large amount of ostrich eggshells were also identified, and animal bones were also excavated in large quantities around functional areas where hunter-gatherers used hearth.
    There is uncertainty in regard to its period due to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 methods and materials in age-dating techniques, but there is no controversy that the lower cultural layer is considered remains of the Upper Paleolithic.
    The approximate cultural layer dating is estimated to be 35,000 to 20,000 years ago.
    Despite blade and microblade artifacts have been found in North China. There is not much evidence to explain the origins of blade production technology and the proliferation of modern humans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use of Paleolithic data in China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comparative studies on a wide spatial background, and enables a comprehensive analysis on climate environment, mobility of hunter-gatherers, distribution range of artifacts,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