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단식 지석묘로 본 김해 구산동 지석묘 (Dolmen in Gusan-dong, Gimhae, Examined through Altar-style Dolmen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10
40P 미리보기
제단식 지석묘로 본 김해 구산동 지석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2권 / 228 ~ 267페이지
    · 저자명 : 이동희

    초록

    김해 구산동 지석묘는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조사된 최대형의 상석(上石)과 묘역(墓域)을 갖춘 특별한 존재이다. 지석묘 축조 마지막 단계에 이렇게 큰 상석과 묘역을 만들면서도 매장주체부와 유물은 매우 빈약하다. 구산동 지석묘를 토착 수장묘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외형적인 규모와 매장주체부·유물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단식 지석묘로 보인다. 더구나, 매장주체부의 조성 시기에 대한 논란이 있다. 구산동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로의 전환기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유적이라고 볼 수 있다.
    영남지방에서 대형 제단식 지석묘가 가장 활발하게 축조되는 시기는 점토대토기(세형동검)문화 단계이며, 창원·김해·경주 등 동남부권에 집중한다. 즉, 세형동검문화가 한반도 서남부지방보다 늦게 나타난 영남 동남부지역 일대는 기념물적 성격의 지석묘 축조가 늦은 시기까지 지속된다. 이렇듯 거대 종교적 기념물을 만든 시점은 세형동검문화 유입시기 이후이다. 이 시기에 지석묘를 축조했던 집단은 새로운 이질적인 문화 요소(세형동검문화 및 철기문화)와 만나게 되는데, 토착 우두머리들은 개인의 능력과 사적 소유를 강조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기보다는 종래 사회구조를 지탱했던 공동체 유형을 강화하는 방향을 선택하면서 제단 기능을 갖는 대규모 묘역식 지석묘를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의 창원 덕천리 1호 지석묘뿐만 아니라, 삼각구연점토대토기 단계의 경주 전촌리 묘역식 제단 등의 존재는 공동체 유지를 위해 의례를 중시한 것이지 개인 수장의 권력을 보여주는 상징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거대 묘역식 제단이 있는 김해 구산동 지석묘를 수장(首長)의 무덤으로 추정하기보다는 제단식 지석묘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dolmen in Gusan-dong, Gimhae, is unique in the sense that it has the most prominent top stone and grave site ever investigated in Korea. Compared to the huge top stone and grave site built in the last stage of dolmen’s construction, the main burial chamber and relics are very poor. Some views regard the dolmen in Gusan-dong as the indigenous tomb of a ruler. However, this study regarded it as an altar-type dolmen as its external scale, main burial chamber, and relics do not match. This shows the social aspects of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In the Yeongnam region, The period when altar-type dolmens were most actively constructed was at the pottery with ringrim culture stage. The construction concentrated on the southeastern parts of Yeongnam, such as Changwon, Gimhae, and Gyeongju. In the southeast area of Yeongnam, the pottery with ringrim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ppeared late. The construction of monumental dolmens continued until late, when it stopped in other areas. The time when such a huge religious monument was built was after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was introduced. The group that created the dolmens during this period faced a new, heterogeneous cultural element. The ruler chose to strengthen the type of community that supported the existing social structure instead of accepting a new ideology that emphasized individual abilities and personal properties. It led to large-scale graveyard boundary-type dolmens like Dolmen No. 1 in Deokcheon-ri.
    The existence of monuments such as the Dolmen No. 1 in Deokcheon-ri, Changwon and the graveyard boundary-type altar in Jeonchon-ri, Gyeongju indicates that the emphasis was placed on rituals to maintain the community. It is not seen as a symbol of the power of the individual rul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gard the dolmen in Gusan-dong, Gimhae, with a huge graveyard boundary-type altar, as the tombs of the ruler but as altar-style dol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