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읍>의 양면성 - 동아시아적 보편성의 한 징표 - (Two sides of Jeongeu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3
43P 미리보기
&lt;정읍&gt;의 양면성 - 동아시아적 보편성의 한 징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1호 / 263 ~ 305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삼국시대 백제의 지역 노래인 <정읍>은 고려와 조선에 걸쳐 궁중정재 무고의 악장으로 사용되었다. 왕실이 이 노래를 수집한 것은 채시관으로 하여금 각지의 노래를 기록하여 백성들의 풍속을 관찰하고 득실을 깨달아 스스로 잘못 된 점을 바르게 고치고자 한 옛 제도를 따른 일이자 『시경』 「국풍」의 정신을 받아들여 실천에 옮긴 일이다. 『시경』의 15 국풍은 바로 15개에 이르는 서로 다른 지방 악조(樂調)이자 토풍(土風), 혹은 토조(土調)들이다. 그리고 그것은 주나라 왕조의 아악과 구별되는 악조들로서 각 제후국의 지방색채를 갖는다. 또한 그것들은 각 제후국들의 하층민들이 부르던 노래와 함께 경우에 따라 귀족들의 창작도 포함한다. 따라서 노래들의 내용・분위기・미학 혹은 구조나 형상화의 방법은 역대 왕조들의 속악, 일본의 국풍가요 등과 동질적인 성향을 갖는다. 『고려사악지』의 아악과 당악은 『시경』의 아・송, 속악은 『시경』의 국풍에 대응되는 성격을 지닌다. 『시경』의 「국풍」이 주나라가 봉한 15개 제후국의 노래들인 것처럼, 『고려사악지』에 수록한 3국[신라・백제・고구려]의 노래들도 그런 의식 하에 궁중에서 사용되었을 것이다. 속가들은 민간의 소박한 생활 속에서 만들어진 것들이라 해도 정치집단의 구성원들에 의해 채록되고 궁중이라는 정치적 공간에 수용되는 순간 텍스트는 정치적 멘트로 바뀐다. <정읍사>를 ‘정읍 지역에서 불려 내려오던, 특별한 내용의 민간 노래’로 규정하는 순간 그것은 『시경』의 국풍과 마찬가지로 정치적・역사적 의도를 지닌 특별한 해석의 대상이 된다. 독자나 청자, 연구자는 <정읍사>와의 대화를 통해 그것이 지니고 있던 비밀을 간파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정읍>과 성격이 같은 상당수 『시경』 「국풍」의 노래들도 해석의 양면성을 갖고 있으며, 의례에 쓰이던 일본의 국풍가무들도 마찬가지였다. 사이바라를 비롯한 헤이안의 가요들 가운데 <아나타후토(安名尊)>・<미마사카(美作)>・<이세노우미(伊勢海)>・<고로모가에(更衣)> 등은 현재도 연주되고 있는 노래들로 이중적 의미를 갖고 있다. 『시경』의 「국풍」, 고려속가, 일본의 풍속가요 등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노래들로서 궁중의 의례에 사용된 것들은 대부분 이중의 의미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 노래들은 지역의 민초들이 부르던 노래였으므로 삶의 현장에 존재하는 것들을 소재로 꾸밈없는 정서를 표출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배집단의 의례공간에서 요구되는 내용이나 이데올로기와 맞지 않는 것들은 교묘한 해석으로 진실을 위장하는 성향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궁중 무대예술에서 노래들의 이면적 의미가 반복적으로 문제될 때에는 노래 자체가 교체되는 경우도 빈번했을 것이다. <정읍>을 비롯한, 한・중・일의 지역 노래들로서 지배집단에 의해 간택된 것들은 통시적으로 이런 해석적 검증의 테두리를 벗어날 수 없었고, 그것이 바로 지역예술의 궁중 수용과 함께 부각되는 문화사적 의미이다.

    영어초록

    Jeongeup, a local song of the Kingdom Baekj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used as an akjang of royal court jeongjae mugo throughout Goryeo and Joseon. The government of the dynasty accepted this song according to the old system, which the poem collector recorded songs from all over the country, observed the customs of the people, realized the good and bad, and corrected what was wrong by themselves. At the same time, it was something accepted the spirit of Shijing Guofeng and put it into practice. The 15 nations’ songs of the Shijing are 15 different local music and indigenous songs, or indigenous times. And it was the local songs of each small country as a musical tunes distinct from A-ak of the Zhou Dynasty. Those also include the creation of aristocrats in some cases, along with the songs sung by the lower class of each country. Therefore, the content, atmosphere, aesthetics, or method of composition or shape of the songs have homogeneous tendencies such as popular music of previous dynasties and Japanese people songs. The A-ak and Dang-ak of Goryeosa-akji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rresponding to the people songs of A·song of Shijing, Sok-ak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rresponding to the Shijing Guofeng. Just as Shijing Guofeng was songs of 15 small countries appointed by the Zhou Dynasty, the songs of the three kingdoms [Silla, Baekje, Goguryeo] included in the Goryeosa-akji would have been used in the court under the consciousness. Even if the people songs were made in the simple lives of the people, the text turned into the political comments as soon as they are recorded by members of the political group and accepted in the political space of the court. As soon as "Jeongeupsa" is defined as "a private song with special content sung in the Jeongeup area since ancient times," it becomes the subject of special interpretation with political and historical intentions, just like Shijing Guofeng. This is because readers, listeners, and researchers discover the secrets of the text through conversations with it. In this respect, many of Shijing Guofeng whic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Jeongeup, also have two sides of interpretation, and the same was true of the Japanese Guofeng songs and dances ceremonies. Among Heian's songs, including Saibara, Anatahuto, Mimasaka, Isenoumi, and Goromogae are songs that are still being sung and have double meaning. Most of the songs used in court ceremonies have double meaning structure as regional-based songs such as Shijing Guofeng, Goryeo songs, and Japanese people’s songs of Shijing. Since these songs were sung by local people, they would have expressed unpretentious emotions based on the things that exist in the field of life. However, those that do not match the content or ideology required in the ritual space of the ruling group show a tendency to disguise the truth with subtle interpretation. Above all, when the meaning of the inner side of the songs in the court stage art was repeatedly problematic, the song itself would have been frequently replaced. Those selected by the ruling group as local songs of Korea, China, and Japan, including Jeongeup, could not escape the boundaries of this interpretive verification, and that is the cultural historical meaning highlighted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the court from local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