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魏晉南朝의 將軍制와 ‘寧東大將軍’ (General System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and the ‘Great General Yeongdo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2
22P 미리보기
魏晉南朝의 將軍制와 ‘寧東大將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1권 / 46호 / 183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현

    초록

    後漢末 이래로 魏晉南朝를 거치면서 발달한 將軍制度는 분열과 혼란의 시대상을 집약적으로 대변해준다. 이 시대 역대 왕조는 군사적으로 매우 취약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將軍號의 수는 폭증을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관직체계에서도 수많은 장군과 그 軍府의 屬官職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군사 정변을 통해 대권을 장악한 장군이 국정을 전단하다가 새로운 왕조를 창업하는 사례가 수십 년마다 되풀이된 것은, 장군제의 전개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였다.
    지방에서도 장군호의 폭증에 비례하여 州와 郡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행정이 군부에 예속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都督·將軍의 군사관할 범위 안에서 州·郡은 그 일부로 예속되었으며, 군부의 속관들이 郡縣의 守令을 겸하는 것이 상례가 되었다.
    중앙과 지방이 장군의 군사관할권에 의한 統屬체계로 새롭게 개편되면서, 국제관계에도 기존의 爵制的 질서를 벗어나 장군호를 매개로 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되었다. 東晉末 이후 南朝에서는 이미 유명무실해진 封爵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장군호를 주변국 군주에게 除授함으로써, 새로이 군사관할권에 입각한 統屬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주변국 군주의 사절이 그 군부의 속관 직함(長史·司馬·參軍)을 지니고 중국에 使行한 것은, 새로이 형성된 관계의 틀이 국제관계의 표준이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측의 이러한 의도가 실제로 관철되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宋代 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안정을 회복하는 단계에 들어섬으로써 중국과 정치 문화적 교류를 희망하는 주변국에 장군제의 수용이 점차 국제적인 관례로 굳어져갔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관례는 비단 중국과 주변국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주변국들 사이에서도 적용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6세기에 百濟가 倭에 보낸 사절의 직함으로 장군이 종종 등장하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武寧王이 실제로 국내에서 寧東大將軍의 軍府를 개설 운용했는지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의 묘지명에서 보듯 장군호를 공식적인 직함으로 사용한 사실은 확인할 수 있다. 무령왕은 중국과의 교섭에서도 장군호를 포함한 공식 직함을 칭하고, 그가 보낸 외교사절도 당연히 군부 고유의 직함(즉 長史․司馬․參軍)을 사용했을 것이다. 다만 干支 표기나 ‘崩’의 용례는 무령왕이 백제에서 배타적으로 군림하는 존재였음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즉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은 당시 국제 관례를 충실히 반영한 직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eneral system developed in the Six Dynasties Period intensively represents the period of split and disorder. Although most of dynasties in this period had very weak and little military capabilities, the number of generals had been considerably increased, as a result, a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subordinate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entire officer ranking. In particular, Establishments of new dynasties by generals who took the supreme power by coup in every several years were an inevitable result due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system.
    In various local areas, the number of provinces and towns had been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generals, and their administrative organs were resulted to be subordinated to military posts of Dudu(都督) and Jiangjun(將軍). It turned out to be a tendency that subordinates of a military post served as magistrates(郡守·縣令) within the military jurisdiction of a general.
    As the administrative system was reorganized to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s of generals, a new order had been formed by general 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pre-existing order(爵制的 秩序). Since the 5th century, general titles were granted to the monarchs in neighboring countries, as a means to compensate nominalized titles of nobility, by which a new governing system based on military jurisdiction was estabilished. In this period delegat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visited China usually with titles of subordinates(Changsi, Sima, Canjun) of military posts, which proves that relationship reorganized based on the military system and title was considered a widespread standar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hard to assure whether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chinese military system and title actually worked as intended. But acceptance of chinese military general system became an international tendency among neighboring countries hoping political,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s since the 5th century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reached the step to restore its stability.
    Although Actu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Great General Yeongdong” military post by King Muryeong(武寧王) is still in debate, the epitaph from his tomb proves that King Muryeong obviously used his general title as an official title. King Muryoeng called himself various official titles including granted general title in negotiations with Chinese side, his diplomats would use their own titles of military posts for sure. However several words in the epitaph clearly reveal that King Muryeong was an exclusive and independent ruler in Baekje(百濟)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