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화엄사상에서 의상과 법장의 위상 (The Status of Uisang and Fazang in East Asian Huayan Studi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4
23P 미리보기
동아시아 화엄사상에서 의상과 법장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1호 / 65 ~ 87페이지
    · 저자명 : 김천학

    초록

    동아시아 화엄학에서 의상과 법장은 후대에 학문적 영향력을 통해 볼 때 신라와 당의 두 거장이다. 신라와 고려에서는 누구보다도 의상 화엄학의 영향력이 가장 지대하다. 반면에, 당과 송에서는 법장 화엄학의 영향력이 지대하다. 지엄의 두 제자 의상과 법장의 사이에는 학파적 계보의식과 사상적인 면에서의 차이가 발생한다. 먼저, 학파적 계보의식의 면을 통해 볼 때, 의상의 『법계도』가 신라시대 이래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줄 곧 주석되고 관심의 대상이 된데 반해, 법장의 『화엄일승교의분제장』은 남송시대에 와서 비로소 주석서가 나올 정도로 사상의 연속성이 담보되지 못하였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의상의 사상은 전대의 주류적인 사상들을 흡수하여 독자의 오척신사상을 탄생시켰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성기사상이다. 의상은 성기사상에 근거를 두고 오척신으로서의 인간이 실천의 절박함을 통해 부처의 세계에 들어가는 방법을 제시했다. 반면에 법장은 화엄의 별교적 성격을 두드러지게 강조하면서 연기적 세계를 강조한다. 법장은 연기사상에 근거를 두고 이지적으로 실천하게 하는 사상가였다고 할 수 있다. 의상과 법장은 이와 같이 서로의 강조점이 다르지만, 둘 다 실천적이라는 데서는 차이가 없다. 그리고, 화엄사상의 궁극적 원점을 양 사 모두 성기사상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도 다르지 않다.

    영어초록

    Through the influence that Uisang and Fazang in East Asian Huayan Studies gave to the posterity, they have become the two great masters in Shilla and Tang dynasty. Uisang exercised an enormous effect in Shilla and Goryeo dynasty, while Fazang was very influential in Tang and Sung. Differences in academic genealogy and idea have occurred between these two disciples of Zhi-yan(智儼), Uisang and Fazang.
    First, in the academic genealogical aspect, Uisang's 『Beobgyedo(法界圖, iconography of the realm of Buddhism)』 has continuously earned interest and has been used as annotations since Shilla dynasty through Goryeo and chosun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annotation of Fazang's 『Huayan yisheng jiaoyi fenzhai zhang(華嚴一乘教義分齋章)』 has started to appear in Sung dynasty which didn't come up sequentially.
    In the idealogical aspect, the idea of Uisang has absorbed the former dominant thoughts and created the thought of ‘Ocheokshin’(五尺身, the current body); in other words, the though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性起). Whereas Fazang emphasizes the world of dependent arising(緣起) by noting the character of Huayan; the distinctive teaching.
    Nevertheless, the common point of these two is that they were practical theorists. Uisang, based upon ‘the though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and Fazang, based upon ‘the thought of dependent arising’, insisted to be theorists of practice. Also, that they have put ‘the though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as the ultimate starting point of Huayan is also another common point between the two theor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