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오동전투에 관한 기억의 流動과 새로운 기억을 향한 접근 -지역으로서 동북아와 근원적 사실을 향해- (The flow-dynamics(流動) of memory about Bongo-dong battle Dynamism and access to new memo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06
36P 미리보기
봉오동전투에 관한 기억의 流動과 새로운 기억을 향한 접근 -지역으로서 동북아와 근원적 사실을 향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5호 / 321 ~ 356페이지
    · 저자명 : 신주백

    초록

    이 글은 1920년 6월의 봉오동전투에 관해 당시부터 현재까지 한국사회가 어떻게 기억해 왔는지를 사회의 변화, 연구동향, 역사교육의 측면과 연계 지어 살펴보았다.
    봉오동전투를 홍범도 중심으로 기억하는 흐름은 전투 직후부터 있었다. 최진동의 역할도 기억하는 언급이 있었지만 홍범도 다음이었으며, 부대의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해방 후 좌우대결과 분단체제의 성립은 홍범도와 봉오동전투라는 존재조차 역사에서 사라지게 하였다.
    봉오동전투에 관한 기억이 다시 전면적으로 복원된 때는 1970년대였다. 민족운동에 대한 재조명이 본격화하고 역사교육에 반영되면서였다. 그것은 남한과 북한 정권이 역사적 정통성을 놓고 매우 치열하게 체제우월경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표면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1945년 이전에 이미 고정화된 관념인 홍범도부대를 중심으로 전투의 배경과 전개과정을 이해하는 인식이 국민적 기억으로 자리를 잡아 오늘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봉오동전투 현장에 실제 배치된 부대는 통합된 대한군무도독부였다. 최진동과 홍범도의 역할도 달랐다. 그럼에도 그 사실에 주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왜 봉오동에서, 그리고 어떻게 가능했을까'라는 근본적인 의문을 품거나 비판적 문제제기를 한 연구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문제점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동북아시아라는 폭넓은 시야와 함께 객관적 조건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한국사회는 봉오동 및 청산리 일대의 자연지형 및 인문지리와 관련한 원천지식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지금까지의 몇 주년 맞이 학술준비보다 훨씬 뜻 깊게 2020년 1백주년을 맞이하는 방법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Korean society has remembered the Bongo - dong battle in June 1920, from the time of its existence to the present, in relation to changes in society, research trends, and historical education The flow of remembering Bongo-dong battle as Hong-bum-dong center was just after the battle. There was a mention to remember the role of Choi Jin-dong(崔振東) but it was followed by Hong Bum-do(洪範圖), and the name of the unit was rarely mentioned. After the liberation, the formation of the confrontation and division system of both left Hong Bum-do and the Bongo-dong battle even disappeared from history.
    It was in the 1970s when the memory of the Bongo-dong battle was restored to full scale. It surfaced in the course of th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regimes fiercely competing for the sake of historical legitimacy. In this process, awareness of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battle centered on Hong Bum-do unit, which is already fixed before 1945, has been popularized to today.
    However, the unit actually deployed on the Bongo-dong battlefield was an integrated Korea Independent Army(大韓北路督軍府). The roles of Choi Jin-dong and Hong Bum-do also differed. Nevertheless, there are no studies that have not only paid attention to this fact but have raised fundamental questions or raised critical ques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bjective conditions of Northeast Asia with a broad view in the coming one hundred years in 202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