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 사상과 동아시아 전통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f Heidegger’s Thought and East Asian Tradition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9.11
46P 미리보기
하이데거 사상과 동아시아 전통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43호 / 55 ~ 100페이지
    · 저자명 : 정은해

    초록

    하이데거 사상에 관한 하와이 심포지엄(1969) 이래로, 하이데거 사상과
    동아시아 전통들에 관한 많은 논문들이 발간되면서 이들 사이의 대화는 더욱
    촉진되었다. 국내 논문들도 하이데거 사상과 동아시아 전통들 사이의 유사점들
    을, 하이데거와 유식불교, 하이데거와 선 불교, 하이데거와 노장의 비교 속에서
    찾아왔고, 이미 상당한 성과를 이룩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들 각자의 고유성을
    잊지 않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사점들 안에 성립하는 차이점들 및 이를 가능하
    게 한 배경적 믿음들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논문은 바로 그들의 유
    사성 내에 존재하는 차이점들을 긍정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경적 믿음에서의 그들의 차이는 자아관, 실재관, 시간관, 언어관 등에서 고찰
    될 수 있다. 우선 자아관의 면에서, 하이데거는 유한한 자아를 말하고, 동아시아
    전통은 확대된 자아를 말한다. 이런 자아관과 밀접히 연관된 것이 실재관이다.
    하이데거는 유한한 실재성을 말하고, 동아시아 전통은 영원한 실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이한 실재성에 관련된 시간 역시 상이하다. 하이데거의 실재관을 성립
    시켜 주는 시간은 유한한 과거와 유한한 미래의 통일로서의 유한한 시간이고,
    동아시아 전통의 실재관에 관련된 시간은 현재와 영원의 통일로서의 무한한 시
    간이다. 이러한 상이한 시간관은 언어에 대한 상이한 견해를 낳는다. 하이데거
    에게 언어는 실재성의 이해를 완성하는 데 기여하면서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하
    거나 보완해주는 긍정적 의미를 갖는 반면, 동아시아 전통에서 언어는 영원한
    실재와 비교할 때 시공적으로 제한된 것으로서 실재성을 위해서나 인간을 위해
    서 특별한 의미를 갖지 못한다.
    하이데거 사상과 동아시아 전통 사이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차이점들은 그러나
    그들의 양립불가능성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하이데거는 실재론을
    하나의 가능한 존재이해방식으로 인정하고 있고, 동아시아 전통의 입장에서도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시공적으로 제한된 인간에게는 불가피한 존재론으로 간주
    56 ║ 철학과 현상학 연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데거 사상과 동아시아 전통 사이에서 발견되는 이러
    한 차이점들이 그들 사이의 모든 대화의 불가능성을 함축하는 것도 아니다. 차
    이점의 상호 인정 하에 전개되는 대화는 오히려 각자의 고유성을 더욱 부각시
    켜 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From the Hawaiian symposium (1969) about Heidegger’s thought
    until now, many essays concerning with Heidegger’s thought and
    East Asian traditions have been published to promote further their
    dialogue. Some domestic essays also have researched similarities
    between them in that they have compared Heidegger’s thought and
    Buddhism, Zen Buddhism, or Taoism. They have succeeded in
    discovering many important similarities of them. Still, it is also
    useful to find the differences to affirm their independent uniqueness.
    From this viewpoint, this paper seeks to clear the differences within
    the similarities and to suggest the different fundamental beliefs that
    make possible these differences. The differences are, in their hidden
    dimension, based on different basic beliefs which are concerned,
    before others, with self, reality, time, and language.
    As for the conception of self, the self to perceive the reality is
    for Heidegger a finite self, whereas the self for East Asian
    traditions is an expanded self. As for the conception of reality, the
    reality for Heidegger is a finite reality, while that for East Asian
    traditions is an eternal reality. As for the time related to the reality,
    it is for Heidegger the finite time as the unity of finite past and
    finite future, whereas it is for East Asian traditions the in-finite
    time in the sense of the unity of the present and the eternity.
    Language is for Heidegger that which enables man participate and
    complete the revealment of Being so as to achieve an historical
    significance, and thus has a special meaning for the finite man,
    whereas it, for East Asian traditions, has no special meaning for
    the perception of the eternal reality because of its time-spatially
    boundedness.
    So,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East Asian traditions and
    Heidegger’s thought. Nevertheless, these do not necessarily imply
    their incompatibility. For Heidegger acknowledges that realism is a
    possible way of understanding Being, and East Asian traditions can
    accept the ontology of Heidegger as unevitable perception of the
    reality by the man who has not achieved the expanded self and is
    still time-spatially bounded. The above mentioned differences of
    them do not imply even the impossibility of their dialogue. For
    dialogue can be performed also for ascertaining their differences
    and acknowledging them as they are. In other words, even between
    different positions, dialogue can be conducted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ir difference and respective uniqu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