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동아시아 불교조각과 화본(畵本) (Ancient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and Model Pain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3
24P 미리보기
고대 동아시아 불교조각과 화본(畵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3권 / 7 ~ 30페이지
    · 저자명 : 소현숙

    초록

    본 연구는 고대 ‘동아시아 불교미술문화권’의 형성에서 화본이 했던 역할과 기능을 조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중국, 한국, 일본 등 세 지역을 하나의 ‘동아시아 불교미술문화권’으로 만든 데는 ‘화본’이라 불리는 물질자료가 지대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주로 실물 조각의 유통에 관심을 기울였을 뿐, 가장 중요한 매개체인 ‘화본’의 존재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현존하는 문자 기록과 실물 자료를 통해 화본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는 서역을 거쳐 기원 1세기 중국에 전래되었다. 이후 중국에서 성장한 불교는 한국과 일본으로 전해져 이른바 ‘대승불교 문화권’으로 통칭되는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고대 ‘동아시아 불교미술문화권’, 특히 ‘동아시아 불교조각문화권’의 형성에는 조각품의 유통 이외에도 ‘화본’이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부피가 있고 무거운 3차원적 조각보다는 휴대가 용이한 2차원의 그림들이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혹은 국경을 넘어 광대하게 유통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전래된 그림들은 지속적으로 모사의 대상이 되어 회화로 재생산되기도 했으며, 혹은 조각의 분본(粉本)이나 화양(畵樣) 등의 밑그림으로 사용되었다. 화본은 인도에서 중국으로 처음 불교가 전래될 때도, 그리고 인도 양식과 도상이 물밀 듯이 전래되던 당대(唐代) 초기에도 여전히 가장 중요한 문화전파의 수단이었다. 이렇게 전래된 인도 불상은 다시 화본을 통해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전래되어 각국 불교조각의 범본(范本)으로 기능하면서,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을 형성했다.
    화본의 유통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서상’의 유포에서이다. 아육왕상(阿育王像), 양주서상(凉州瑞像) 등은 모두 모사본의 다량 유통에 의해 넓은 지역으로 유포되었는데, 이는 현존하는 실물자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서상들은 동일한 범본을 사용했기 때문에 동일한 형식으로 제작되곤 했다. 다시 말해 ‘공유하는 형식인 통식(通式)’이 있었는데, 통식의 서상들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현존하는 서상들에 보이는 통식은 동일한 화본의 유통 결과로 볼 수 있는데, 문헌에도서상의 광범위한 유포가 모사에 의한 화본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존하는 실물자료 또한 이런 확산을 증명해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function of “model paintings(畵本)” in the formation of ancient East Asian art culture centering on sculpture. Model painting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ree regions such as China, Korea and Japan “the sphere of East Asian Buddhist art culture". Nevertheless, the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the distribution of the sculptures, but the existence of the most important mediator “model paintings” have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model paintings through existing character records and materials.
    Buddhism, which was born in India, was introduced to China in the first century through the Western Regions. Since then, Buddhism, which had grown in China, had been passed down to Korea and Japan, forming the sphere of East Asian Buddhist culture. Model paintings had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such ancient East Asian Buddhist artistic culture, especially the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culture. This is because two-dimensional pictures that are more portable than bulky and heavy three-dimensional pieces had been widely distributed from one area to another, or across borders.
    The distribution of model paintings can best be confirmed through the spread of the “Miraculous Images”. For example, the Asokan Images and “the miraculous images of Liangzhou(凉州)” had been expanded in large areas by the mass distribution of manuscripts. These Buddha statues used the same samples, so they were produced in the same format. The common form of existing miraculous images was made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same model picture. The document also records that the extensive dissemination of the Miraculous Images were made by a copy of the model painting, and existing Buddhist images also prove this prolif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