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의 토포필리아 (Topophilia in the movie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3
36P 미리보기
영화 &lt;웰컴 투 동막골&gt;의 토포필리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7권 / 1호 / 167 ~ 202페이지
    · 저자명 : 이명보

    초록

    장소는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의 안식처이고, 애정과 안전을 느낄 수 있는 고요한 중심이다.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인간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미지의 공간은 친밀한 장소로 변하고, 이것은 낯선 추상적 공간이 의미로 가득 찬 구체적 장소로 전환된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고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그 장소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와 감정이 축적되어 형성되는 장소애를 “토포필리아(topophilia)”라고 정의한다. 토포필리아는 인간의 구체적 경험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장소에 대한 애착이 절대적인 상상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인의 기억과 학습에 의해 형성되고 획득된다.
    이에 본고는 장소성을 명징하게 드러냄으로써 영화 속 인물의 심리적 변화를 도모하고 이를 통한 영화의 내러티브를 밀도 있게 구축하는 영화 <웰컴 투 동막골>에 집중한다.
    영화 속 동말골은 삶의 터전이자 등장인물의 내적 세계를 반영하고 주제를 구체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며, 병사들에게 있어 인류를 향한 포근한 온정과 안정감을 주는 감정의 원천이 되어주는 장소로 다가온다. 이러한 장소애를 통해 지금껏 이방인으로 방랑하며 살아온 병사들이 한 사람의 인격체로 인정받으며, 사랑의 대상이자 기쁨과 확실성의 원천이 되어가는 과정을 영화는 점진적으로 시각화하였다. 이는 곧 영화의 서사 장치에 영향을 줌과 동시에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주요 메시지에도 설득력을 높이는 역할을 해낸다.
    그리고 병사들이 동막골에 서서히 융화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주체가 장소에 소속감을 느끼며 점차 자신과 동일시하는 실존적 내부성을 형성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실존적 내부성의 경험을 체험한 병사들이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동막골을 지켜내는 것은, 곧 병사들 자신을 지켜내는 것과 다름 아니다. 이처럼 동막골은 구체적인 삶과 연관되는 요소이자 지리적 상상을 매개하는 중요한 원동력이며, 등장인물의 자의식으로 치환되는 심리적인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 속 치유의 장소가 되는 토포필리아로서의 동막골을 살펴보는 시도를 통해 인물들과 동막골의 정서적 연계성을 규명하고, 동막골이 가지는 의미와 그 영향력을 탐색한다. 또한 동막골이 지닌 장소 정체성을 병사들의 내적 심리와 연관 지음으로써, 영화의 내러티브와 장소와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 place is a haven for the values an individual gives, a quiet center where one can feel affection and safety. Through various direct and indirect human experiences, unknown spaces are transformed into intimate places, which transform unfamiliar abstract spaces into concrete places filled with meaning. And as time passes and experiences accumulate, the love of a place is defined as “topophilia,” which is formed by accumulating positive emotions and feelings toward the place through the process of giving special meaning and value. Topophilia belongs to the realm of concrete human experience, and attachment to a place is formed and acquired through personal memory and learning, not through absolute imagination.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film <Welcome to Dongmakgol>, which seeks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characters in the film by clearly revealing the sense of place and builds the film’s narrative in a dense manner.
    Dongmalgol in the movie functions as a place of life and an important element that reflects the inner world of the characters and embodies the theme, and is a place that serves as a source of emotions for the soldiers, giving them a sense of warmth and stability toward humanity. And through this love of place, the film gradually visualizes the process by which the soldiers, who had been wandering as strangers until now, are recognized as human beings and become objects of love and a source of joy and certainty. This not only affects the narrative device of the film, but also plays a role in enhancing the persuasiveness of the main message the film is trying to convey.
    And in the process of the soldiers gradually assimilating into Dongmakgol, the subject feels a sense of belonging to the place and gradually forms an existential interiority in which he identifies with himself. For soldiers who have experienced this experience of existential interiority, protecting Dongmakgol, which is like their alter ego, is no different from protecting the soldiers themselves. In this way, Dongmakgol is an element related to specific life and an important driving force that mediates geographical imagination, and is used as a psychological space that is replaced by the character’s self-consciousness.
    According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characters and Dongmakgol through an attempt to examine Dongmakgol as a place of healing in the movie, and explores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Dongmakgol. In addition, by linking Dongmakgol’s identity as a place to the internal psychology of the soldiers, it seeks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m’s narrative and the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