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적 공간과 생성의 문제 (The Meaning of East-Asiatic Space and Ontological Becoming of th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4.05
25P 미리보기
동아시아적 공간과 생성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78호 / 207 ~ 231페이지
    · 저자명 : 이명수

    초록

    이 논문은 생성의 공간에 주목하되, 동아시아적 사유를 통해 접근한 것이다.
    플라톤에게 공간은 하나의 장소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공간은 몸이 점유하는 모든 장소의 총합이다. 장소 자체는 공간의 부분으로 그 경계는 그것이 받아들이는 인간의 몸체의 경계와 일치한다. 이에 비해 노장철학에서 공간은 존재와 생성의 근원이다. 노자가 공간이 갖는 절대적 추상성과 구체성에 대한 시각을 견지하였다면, 장자는 자연물이 놓이는 ‘곳’마다 개별자로서 사물이 그 스스로 ‘도’를 가지는 것으로 여기고, 존재의 근원으로서 공간 이외에 마치 ‘포정해우(庖丁解牛)’ 고사에 보이는 것처럼, 공간에 내재한 ‘결’, 곧 공간성에 주목한다. 이 같은 시각은 ‘로컬리티 인문학’에서 중시하는 장소적 체현이나 현장성의 가치와 유사성을 지닌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운동이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해 공간(장소)의 문제를 상정하였다면, 동양의 자연관에서 공간은 끊임없이 사물을 생성하는 존재론적 실재이며 속성이다. 여기서 인간은 공간이 갖는 인문학적 생성의 장을 포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공간적 잠재성, 실재성, 역사성에 대하여 생성의 관점에서 주목한다. 역시 그런 맥락에서 장소마다 내재하는 다양한 자료, 표상 찾기를 인문학자의 과제로 대두시킨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becoming of things based on the meaning of East-Asiatic space especially with that of Lao Tzu and Chuang Tzu as the representative Naturalists.
    The space defined by Plato is a place, and that of Aristotle is the collective place in which human being's body is occupied. The boundary of place as a part of space is the same as that of the body. With the comparison of those spaces, the space by Lao Tzu and Chuang Tzu as the East-Asian philosophers is the origin of being and becoming.
    Lao Tzu keeps the absolute abstractness and concreteness of space, and Chuang Tzu thinks that the place (or site) of natural things as an individual entity has its own value (or Tao, and he focuses space as a basis of being and also spatiality as a trace internal in space which is seen in the story of the Cook Ting's cutting up an ox. Such a viewpoint of space is similar to the placeness and the values of presenting situations.
    Space (or place) is supposed to explain activity and becoming by Plato and Aristotle. In the comparision of such a perspective, space in an Oriental viewpoint of nature is an existential reality of consistently making things. Here it is necessary for humans to catch up space as a field of humanistic becom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potentiality, reality and historicity of space from a becoming perspective. Based on those context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nality, representation and symbol of place which include regional cultures should be researched as a subject of human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