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 동부지역 伽耶烽燧說 검토 (A Review of the Theory of Gaya Beacons (Bongsu) in the Eastern Region of Jeollabuk-do)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6
25P 미리보기
전북 동부지역 伽耶烽燧說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3권 / 2호 / 261 ~ 285페이지
    · 저자명 : 홍성우

    초록

    본고는 전북 동부의 소위 ‘가야봉수’를 새로운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쓴 글이다. 烽燧는 밤에 불로써 알리는 烽 과 낮에 연기로써 알리는 燧를 합친 말이며, 다른 용어로 烽火라고도 한다. 烽火는 어원상 烽燧보다는 오래되었지만, 조선 후기까지도 봉화와 봉수는 혼용하여 쓰였다. 조선시대 봉수와 구분하기 위해 전북 동부 봉수를 ‘가야봉화’라 하고 있지만 봉수가 맞다면 ‘가야봉수’라 하여도 무난할 듯하다. 가야봉수를 설명하는 용어인 發火 施設, 發火, 테뫼식 城壁, 烽候(火)制를 검토해 보았으나, 發火 등 봉수에 적용하기 어려운 용어가 있었다.
    현재까지 조사된 가야봉수의 구조와 축조기법, 유물의 종류와 출토관계를 정리한 결과, 가야봉수는 동일한 정치체가 운영하였음에도 구조의 다양성, 출토유물의 빈약함과 무기류의 不在, 봉수군 편성의 어려움, 재와 같은 사용흔 미확인, 연대 분석(AMS) 결과 고려 및 조선시대로 판명 등 가야봉수로 보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山頂에서 유물이 출토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봉수대로 규정하는 것은 더욱 문제가 있었다. 한국의 오래된 방어전략은 성곽으로 입보하는 淸野入保 정책과 산으로 피신하는 隱身策이었다. 전북 동부지역 山頂이나山腹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은 6세기 전후 전쟁 시 일시에 몰려든 가야 피란민의 부산물일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또한 가야봉수의 유구 검토에서도 기능별 다양성을 인정할 필요가 있었다. 전북 동부지역 가야봉수 중 봉수로 볼 수 없는 것과 기능별로 ‘烽燧·祭壇·望臺’로 구분하여 연구대상 봉수에 적용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in order to examine the so-called ‘Gaya bongsu’ of eastern Jeollabuk- do from a new perspective. The term bongsu (烽燧) is a combination of bong (烽), which means to deliver urgent news using fire at night, and su (燧), which does the same during the day using smoke. Bongsu (烽燧) is also called bongwha (烽火).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se two terms, bongwha and bongsu, were used interchangeably. Many examples of use of the term bongwha have been found up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o distinguish the bongsudae found in the eastern region of Jeollabuk-do from those of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called Gaya bongwha, but it seems safe to call them the Gaya bongsu. In addition, after examining the structure and system of Gaya bongsu, including beacon-fire facility (發火施設), beacon-fire pit (發火), temoe-style fortress built by encircling the summit area of a mountain with stones, and bongwha/bonghu system (烽候(火)制), certain problems were pointed ou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Gaya bongsu.
    The structure, construction techniques, types of artifac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excavated features of the Gaya bongsu investigated thus far were summarized. The problems of Gaya bongsu were determined to be the vastly different structures that had been operated under the same local government; the scarcity of excavated artifacts and the absence of weapons; differences in radiocarbon AMS dates; difficulties in organizing the bongsugun (beacon-fire military); and unconfirmed traces of use such as ash.
    It was deemed to be particularly problematic to define bongsu based only on the fact that artifacts had been excavated from the mountaintop. Korea’s long-standing defense strategies involved taking refuge in the fortress (淸野入保), as well as the method of hiding in the mountains.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ummit and slope of the mountains in the northeast of Jeollabuk-do were considered to be the remains of Gaya refugees who had swiftly fled to those places during the wars of around the 6th century. The sites argued to be Gaya bongsu in the eastern region of Jeollabuk-do were therefore classified into those that could and could not be regarded as bongsu; further classification was undertaken on bongsu, altars, and watchtowers. This classification was applied to the surveyed si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