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東女眞·東眞兵의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東女眞 海賊’의 침입을 중심으로- (Infiltration of ‘Eastern Jurchen’ and ‘Dong-Jin-byeong’ into Gangwon in Goryeo dynasty - Focused on ‘Eastern Jurchen Pirate’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09
33P 미리보기
고려시대 東女眞·東眞兵의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東女眞 海賊’의 침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0호 / 221 ~ 253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이 논문은 고려시대 여진의 침입 중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려 건국기 지금의 만주지역의 여진인들은 발해와 거란의 투쟁으로 인해 점차 남하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 일대에서 여진의 침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활동한 여진인들은 東女眞으로 불리었는데, 이들은 육로가 아닌 해로를 이용하여 동해안 일대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이 ‘東女眞 海賊’들의 활동시기는 11세기로, 1005년(목종 5)부터 발생하여 1097년(숙종 2)까지 총 33차례가 확인되었다. 계속된 이들의 침입에 東北界 연해지방의 성보에 사는 군사와 백성들이 편안히 살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에 고려에서는 ‘동여진 해적’을 방어하기 위해 1009년(현종 즉위년)에 戈船 75척을 만들어서 鎭溟口(지금의 북강원도 원산)에 배치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고려의 수군 부대인 鎭溟都部署였다. 그리고 동해안 연안 일대에 城을 축조하기 시작하였는데, 지금의 강원도 일대는 물론이거니와 부산에 이르기까지 축성작업을 하였다. 문종대에는 동해로부터 남해에 이르기까지 연해에 城堡와 農場을 만들어 해적 침공의 요충을 장악하였다는 기록이 이것을 뒷받침하여 준다. 또 고려에서 먼저 육로와 해로로 ‘동여진’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고려의 수군 배치와 축성 등은 ‘동여진 해적’을 방어하기 위한 국가적 대응이라는 측면이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동여진 해적’들은 지금의 강원지역뿐만 慶州, 鬱陵島, 심지어는 일본의 쓰시마[對馬島] 및 규슈[九州] 일대까지 침입하였다. 1019년(현종 10) 일본을 침입하였을 때는 많은 일본인들을 약탈하여 돌아가다가 고려 水軍의 반격을 받았는데, 고려에서는 포로되었던 일본인 남녀 259명을 일본으로 돌려보내 주기도 하였다. ‘동여진 해적’들이 이렇게 일본까지 침입하였던 것은 고려의 수군 배치와 築城이 효과를 거두어 점차 침입이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동여진 해적’은 고려의 효과적인 방어정책과 완안부의 여진통합책에 따라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한편 금을 건국하게 된 여진족들은 몽고족이 성장하면서 많은 반란과 폭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 중 浦鮮萬奴가 세운 ‘東眞’이 당시 동북아시아의 정세 변동에 편승하여 고려를 여러 차례 침입하였다. 東眞兵들은 독자적으로 또는 몽고와 연합하기도 하면서 고려에 침입하였고, 몽고에 완전히 복속된 뒤에는 麗蒙戰爭(1231~1270) 기간에 고려의 동북지방, 지금의 강원지역 일대를 주로 침입하였다. 이들의 침입은 육로와 해로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몽고군이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여진인들을 이용한 것이었다. 또 이 지역에서의 전투를 치른 경험이 있는 東眞兵을 끌어들여 고려의 동북지방을 공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Jurchen's infiltration into Gangwon in Goryeo dynasty. At foundation of Goryeo Kingdom, Jurchen in Manchuria gradually moved southward when fighting against Balhae and Khitan, and Jurchen often infiltrated into Gangwon at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Jurchen who attacked Gangwon was called ‘Eastern Jurchen’ to give great damages to the east coast. The East Jurchen pirate attacked east coast a lot by using not land route but sea route. East Jurchen attacked Gangwon in the 11th century, in other words, as many as 33 times from 1005 (5th year of King Mokjong) to 1097 (2nd year of King Sukjong). People and soldiers at Seongbo, nor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not live comfortable lives because of East Jurchen's attack to be fallen into serious situation.
    In 1009 (1st year of King Hyeonjong), the Goryeo Kingdom built up 75 warships to defend and protect it from East Jurchen pirate to allocate them at Jinmyeonggu (currently, Wonsan at Northern Gangwon-do) that was Jingmyeongdobuseo, the Kingdom's navy. And, the Kingdom started to build up castle along the East Coast from Gangwon-do to Busan. The Kingdom built up castles and farmland along the East Sea and the South Sea to protect it from pirate that was recorded to evidence the fact. And, the Goryeo Kingdom sometimes attacked East Jurchen by using land route as well as sea route. The Kingdom's navy and castle were made to protect the Kingdom from East Jurchen pirate at national level.
    East Jurchen pirate attacked not only Gangwon, Gyeongju and Uleungdo in Korea but also Tsushima and Kyushu in Japan. In 1019 (10th year of King Hyeonjong) when Jurchen pirate attacked Japan, it deprived the Japanese of a lot of properties and was attacked from Goryeo navy that retuned 259 Japanese prisoners of war to Japan. The pirate attacked Japan when it had difficulties at attacking Goryeo Kingdom because of castles and navy. As such, the pirate gradually disappeared owing to the Kingdom's effective defense policy as well as Wananbu's integration policy with Jurchen.
    Jurchen founded a country named Geum, and it suffered from so many riots and rebellion when the Mongol grew up. Dongjin that Poseonmanno built up attacked Goryeo Kingdom many times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changes in Northeast Asia. Dong-Jin-byeong attacked Goryeo Kingdom either independently or with coalition of Mongol. After being surrendered to Mongol, Dong-Jin-byeong attacked northeastern region of the Kingdom, currently Gangwon, at the Goryeo-Mongol War. Dong-Jin-byeong attacked by using land route as well as sea route that Jurchen near Mongol military made use of. Mongol invited Dong-Jin-byeong that experienced war at the region to attack northeastern region of the Goryeo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