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구조의 동·서독 민속학 (German Volkskunde in East and West German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12
18P 미리보기
분단구조의 동·서독 민속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평화학연구 / 12권 / 4호 / 349 ~ 366페이지
    · 저자명 : 김면

    초록

    본 연구는 전후 분단된 상황에서 동·서독이 한민족 두국가라는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민속학연구에서 어떠한 변화를 초래했으며 양국의 민속학자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동·서독은 제3제국 파시즘민속학의 과거극복과정에서 민속학의 연구방법과 조사영역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길을 걸어갔다. 연구는 우리학계에서 다루지 않아왔던 동·서독민속학의 의미성을 재발견하고 전후 독일민속학의 전개과정에서 보여준 학문적 발전을 평가하고자 한다. 체제와 이데올로기의 틀에서 달라져온 민속학 학술형태와 민족문화에 대한 인식차이가 어떠했는가를 확인하고자 했다. 특히 낯선 영역으로 남아있던 구동독의 민속학을 살펴 이들이 추구하였던 민속학분야의 연구성과는 무엇이며 어떤 의미와 영향을 남기는 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에서 과거 제3제국 민속학의 극복과 전후 학술 활동이 양국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가를 살펴서 동·서독의 민속학연구사를 비교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민속학은 민족의 공통된 유·무형의 생활문화를 근거 있게 실증하며 정체성을 밝히는 인문과학이기에, 분단시기 민속학이 냉전적 이념의 굴레를 벗어나 민족의 이름으로 동질감을 느끼게 하고 민족공동체로서 동·서독주민사이의 정서적 이질감을 해소하고자 어떠한 매개적 노력을 해왔음을 살필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동·서독의 통일과정에서 독일민속학이 어떤 역할과 교류협력을 통해 정체성 회복노력을 하였는지 확인되는 계기가 될 수 있기에, 여전히 분단의 아픔을 겪고 있는 우리에게도 민족동일성의 회복 및 상호 가치체계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활동한 민속학의 학술적 뒷받침은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ost-war field of Volkskunde in the two Germanies. The attempt to come to terms with the Nazi past in post-war German folklore scholarship has taken diverse forms and directions. Due to differing political contexts, the process of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was more variable in the West than in the East. The discussions of the National Socialist period of Volkskunde have created a rupture in the discipline characterized by divergent goals of justification, critique and revision. Between 1945 and 1965 folklorists sought to justify and maintain the status quo of the discipline. This climate reflected the superficial denazification measures. As the student movement addressed the problems in German academic and social life in the 1960s, Bauginger and Emmerich in West Germany critiqued the continuity of theories and orientations in the history of the discipline. Volkskunde scholarships have attempted to produce changes in the postwar institutional structure in the 1970s. Today a number of different nomenclatures are in existence, but the central organization in Germany still bear the name Volkskunde.
    And this paper analyzed the scientific approaches and strategies folklorists used to establish the field in East Germany. East German Volkskunde criticized post-war Volkskunde scholarship in West Germany and maintained that new, socialist scholarship was developed in the East. Nonetheless, the discipline's situation was actually similar in the two Germanies in the post-war era. Spamer and Steiniz still followed normative paths that emphasized the scholarly tradition of folklore research. While the SED intensified the political direction and the socialist model in East Germany, Volkskunde became more and more integrated into political spher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ntification with socialist ways of thinking. Since the 1960s a new aspect emerged in the study of folklore with the broadening of the field of research in East Germany. The study of so-called material culture was shaped and Jacobeit fostered intensified international cooperative work in the field of implement research. The normalization of East-West relations after the Ostverträge of the 1970s contributed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dialogue.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folklorists in the GDR and in the West were taken place in the 198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화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