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베르 시몽동에서 기술과 존재 (Technology and Existence on Gilbert Simond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3.03
32P 미리보기
질베르 시몽동에서 기술과 존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56호 / 175 ~ 206페이지
    · 저자명 : 김재희

    초록

    이 글은 인간중심적인 것도 기술결정론적인 것도 아닌 새로운 기술이해의 가능성을 보여준 시몽동의 기술철학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시몽동은 시스템의 준안정성과 상전이에 따른 발생적 생성이라는 독특한 관점에서 기술적 대상들과 기술성의 존재론적 본성을 고찰한다. 그는 인공물과 자연물 사이에서 구체화하는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 기술발달의 정도에 따라 기술적 대상들과 인간이 맺는 상이한 상호협력적 관계와 공진화, 기술적 발명의 개체초월적 역량과 문화상전이에 따른 기술성의 발생 등 독창적인 기술에 대한 사유를 보여준다. 그에 따르면 기술의 발전은 반-인간화나 반-자연화를 촉진하지 않는다. 기술은 본성상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소통의 역량이며, 기술적 앙상블이 구축된 정보네트워크 시대는 기술을 매개로 실현된 개체초월적 관계를 통해 집단적 공명과 소통이 가능할 수 있다. 하이데거와 마르크스의 기술론에 필적할만한 비판적 대안으로 유력한 시몽동의 기술철학은 노동과 사용도구의 관점이 아닌 기술적 본질과 기술적 활동의 관점에서 인간과 기술의 앙상블을 강조하며 정보기술문화 속에 살아가는 현대 인간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문화상전이론에 전제되어 있는 존재론적 가설의 정당화 문제, 그리고 기술적 본질의 존재론적 탐구로 인해 소홀해진 기술과 사회ㆍ정치ㆍ경제의 관계 문제는 좀 더 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 한계지점들로 지적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G. Simondon’s philosophy of technology and measuring its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because he opened a new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echnology which is neither anthropocentric, nor techno-centered. Simondon investigated the ontological nature of technological objects and technology in terms of his peculiar point of view, that is, genetical becoming caused by metastability of system and phase-transition. The modes of existence of technological objects concretized between the artificial and the natural, the cooperative relations and co-evolutions deplo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e transindividual power of technical invention and the generation of the technical caused by phase-transition of culture, and so forth stand for his original thoughts about technology. According to him, technological developments accelerate neither anti-humanization nor anti-naturalization. Technology is, by nature, communicative power that mediates both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between human and human, and the collective resonance and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only by ransindividual relation mediated and realized by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 network age built on technological ensemble. Simondon’s philosophy of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to those of Marx and Heidegger opens a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contemporary, information-technology oriented, human life by emphasizing the ensemble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not from the standpoint of labour and instrument but from that of technological nature and activity. However, justifying the ontological hypothesis which his theory of phase-transition of culture presupposes, and explicating the relation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between technology and politics, and between technology and economy on the basis of his ontological investigation on technological essence remains expecting further considerations and discus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