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계율 이해 연구 (A Study on Understanding of Vinaya Pitaka in East Asi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5.12
41P 미리보기
동아시아 계율 이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9호 / 117 ~ 157페이지
    · 저자명 : 신성현

    초록

    인도에서 불교승가가 시작되면서 성립된 계율은 중국을 거쳐 한국과 일본에 불교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변화를 거치게 된다. 인도에서 처음 계율이 만들어지던 당시와는 다른 시대적 배경, 인도와는 다른 동아시아의 정치·사회·문화차이로 인해 본래 인도의 계율과는 다른 새로운 계율을 만들어 내고 창출하였다. 본래 인도불교에서 계와 율은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단어이었다. 초기불교에서는 계와 율을 분명하게 나누어 설명한다. 계는 주관적인 개인의 결의로 범계(犯戒)에 대한 벌칙이 없으며, 세간의 윤리도덕에 해당하고 자발적인 면이 강조되고 있다. 율은 상가라는 공동체의 규칙으로 범계에 대한 경중(輕重)의 벌칙을받으며, 세간의 법률에 해당하고 타율적인 규범이다. 중국에서는 계와 율을 나누지 않고 계율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계율은 경전을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용어이다. 계율이 의미하는 말은 시라의 의미보다는 상가의 규칙, 즉 바라제목차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말은 한국과일본불교에도 지대한 영향을 그대로 수용하게 되었다. <범망경>이 번역되어 유통된 후에는 성문계보다는 범망계가 중국불교에서 우위를 차지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천태지의와 현수법장등에 의해 계율에 대한 새로운이해와 해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국에서도 불교수용과 더불어 계율에 대한이해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특히 신라에서는 계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원광과 자장에 의해 기틀이 만들어졌다. 통일신라 이전에는 성문계인 <사분율>을 중심으로, 삼국이 통일된 후에는 대승의 범망보살계가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 그 중심에 원효가 있다. 원효의 계율관은 범망계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범망계는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계율로서 지범(持犯)의 판단기준은 표면적인 행위보다는 중생제도라는 내면적 동기에 두어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계율은 지눌과 지공에 의해 전승되었다. 지눌의 <권수정혜결사문> <계초심학인문>은 청규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지공은 무생계(無生戒)로서 사부대중에게 수계를 하였는데, 그 영향력은 매우커서 술과 고기를 즐기던 사람들은 이를 끊었고, 무당을 따르던 사람들은 이를 멀리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배불정책가운데서도 기화 휴정, 긍선, 등이 계율정신을 강조하였으며 근세 학명 동산에 의해서 전승되었다. 일본불교의 계율의 기원은 백제로부터 시작되었다. 계율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던백제불교는 일본불교의 계율 수용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도광은 도선의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를 가지고 귀국하여 그 해에 <의사분율초찬록문(依四分律抄撰錄文)>1권을 발표함으로써 중국에서 일본에 최초로 율종을전래한 사람이 되었다. 이때까지도 구족계의식이 여법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광은 <사분율>에 의거해 일본의 비구 비구니들을 규율하였다고 한다. 이로서 일본의 불교계는 겨우 본격적인 계율을 지향하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천평승보(天平勝寶) 7년(755)에 이르러 당승(唐僧) 감진(鑑眞)이 동대사에 계단을 설치하고 구족계와 보살계를 전계하면서부터 일본불교도들은 중요한 생활규범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가정(嘉禎) 2년(1236) 동대사에서 자서수계(自誓受戒)를 한 각성(覺盛, 1194~1249)과 예존(叡尊, 1201~1290) 등에 의해 율종이 부흥되었다.

    영어초록

    Sila Vinaya, which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start of Buddhist Sangha, experienced great and small changes in the acceptance procedure to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Their periodic background, culture, political, social, cultural climate different from India’s created their own novel Sila Vinaya. Originally, Sila and Vinaya had been used as different concepts. The early Buddhism divided up Sila and Vinaya distinctively. Sila is a subjective resolution of individuals, and has no penalties of violation. It corresponds to morals and ethics of the world, and puts emphasis on spontaneity. Vinaya is a regulation of monastic community, and has penalty of gravity. It corresponds to a law of the world and heteronomous. China didn’t divide up Sila and Vinaya and used them together. The word Sila Vinaya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scripture translation. It was used to refer to regulations of monastic community, Paṭimokkha, and accepted to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affecting them profoundly. Since <Brahamajala Sutra> was translated and distributed, Brahamajala Sila held a dominent position over Shravaka Sila and was studied actively. Especially, Cheontae Jiui and Hyeonsu Beopjang interpreted and understood Sila and Vinaya freshly. Korea started to understand Sila and Vinaya as accepting Buddhism. Silla did active research on Sila Vinaya. Won-gwang and Ja - jang built its foundation. Before unified Silla, <Dharmagupta Vinaya> was a center of the research; and after unified Silla, Brahamajala Bodhisattva Sila took the position. Won - hyo was a key figure of the research. His Sila Vinaya concept focused on Brahamajala Sila. It was applied to both monks and lay people, and its criteria was internal motive of liberation of sentient beings. In the Koryo Dynasty, Sila Vinaya was passed down by Ji - nul and Ji - gong. Ji - nul’s <Gwonsujeonghyegyeolsamun> and <Gyechosimhaginmun> were influenced by Cheonggyu. Ji - gong gave commandments to the fourfold assembly by Musaenggye. It had a profound impact onf people, making them quit enjoying alcohol and meat and avoid shamans. In Joseon Dynasty, despite its anti - Buddhism policy, Gi-hwa, Hyu - jeong, and Geung - seon focused on Sila Vinaya spirit, and it was handed down by Hak - myeong and Don - san in modern times. Sila Vinaya of Japanese Buddhism was based on Baekje. Baekje Buddhism, Sila Vinaya - centered, played an absolute role to acceptance of Sila Vinaya in Japanese Buddhism. Do - gwang obtained Do-seon’s <Sbunyulsanbeonboguelhaengsacho> and published the first volume of <Uisabunyulechochanrokmun>, to become the first initiator of Yule-jong to Japan in China. Because Upasampada ritual was not legal until that time, he was said to regulate Japanese Bhikkhu and Bhikkhuni under <DharmaguptaVinaya>. This managed to create foundation aiming at real Sila Vinaya in Japanese Buddhism. Ever since Kim - jin, a Tanng Dynasty monk, installed a stairway in Dongdaesa and spread Upasampada sila and Bodhisattva sila in the seventh year of Cheonpyeongseungbo (755), Japanese Buddhists were handed down major living criteria. Yule - jong was reestablished by Gak - seong(覺盛, 1194~1249) who received Buddha’s precepts on his own in Dongdaesa in the second year of Ga - jeong(1236) and Ye - jon(叡尊, 1201~129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