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해항도시의 이문화 공간 형성과 변용 - 부산 초량동 ‘차이나타운’을 사례로 (A Study on the Creation and Transition of Cross-cultural Space in an East Asian Seaport City - A Case Study of the ‘China Town’ in Choryang-dong, Busa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07
42P 미리보기
동아시아 해항도시의 이문화 공간 형성과 변용 - 부산 초량동 ‘차이나타운’을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0호 / 613 ~ 654페이지
    · 저자명 : 구지영

    초록

    본 연구는 동아시아 해항도시의 이문화공간이 시공간적으로 형성된 특정한 권력관계와 의미의 틀 속에서 구성․재구성되어왔다는 것을 부산시 초량동 ‘차이나타운’을 사례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의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의 정리를 통해 한국화교의 특징과 연구의의를 살펴보았다. 현재 부산 ‘차이나타운’의 모태가 되는 조계지는 교류의 거점인 해항도시에 대한 청조의 세력 확장으로 성립되었으며, 이것이 화교들의 이주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은 자연발생적인 경향이 강한 타 지역과는 상이하다. 둘째, ‘차이나타운’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지금 개발이 진행 중인 초량 ‘차이나타운’은 쇠퇴한 유래형에서 관광지형으로 전환하는 중에 있다. 이것은 일본의 ‘차이나타운’처럼 주변화된 혼종공간이 ‘중화적인 테마파크’로 장소성을 부여받으며 주류사회로 편입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셋째, 초량 ‘차이나타운’의 모습을 시간적 틀과 공간적 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청관거리’는 개항과 식민, 한국전쟁 시에 대외 교류의 거점으로 위치하다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국민국가의 성립과 더불어 주변화된다. 이후 국제관계의 변동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으면서, 1980년 이후의 부산 도시개발에서 도태되어 ‘잊혀진 공간’으로 존재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경제의 지구화와 한중수교라는 정치경제적 변화로 다시금 이곳의 ‘중화적인 것’이 주목을 받는다. 본고에서는 개발과정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차이나타운’을 둘러싼 각 주체들의 해석과 실천이 매우 다양하다는 것과, 이 해석과 실천이 어긋나고 만나는 과정에서 이 장소는 끊임없이 구성, 재구성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intended to consider the case study of the ‘China Town’ in Choryang-dong, Busan in order to prove that the cross-cultural space of an East Asian seaport city has been structured and restructured in the specific power game(correlation) formed temporally and spatially and in the framework of the meaning. For this, the following three discussions are developed. Firstly, the features of Korean Chinese and the meaning of the study was considered by means of precedent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their settlement, which was the matrix of today’s ‘China Town’, was different with other regions in the view that it was due to the expansion of Chinese settlement for a seaport city and the important point of transportation. Secondly, the study looks into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while arranging ‘China Town’ exist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eras. The Choryang ‘China Town’ under development is being transited from the declined origin type to tourism attraction type, which was also the procedure endowed as ‘Chinese Theme Park’ from a mixed space like the ‘China Towns’ in Japan and melted down in a mainstream. Thirdly, the appearance of the Choryang ‘China Town’ was considered by dividing into temporal and spatial frames. The place was originally located as the important point in the time of opening of the port, colonization and the Korean War but ousted outside as the centralized authority government was established. The place just existed as a ‘forgotten space’ as it was weeded out of the city development of Busan since 1980’s and maintained the foreignness by being affected by the international order between and among U.S., Russia and China. From 1990’s, the effect of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made the place for the ‘China-like’. Also, it was found in the field survey that the interpretation and practices of each ent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a Town’ were so various and the place identity continued to be structured and restructured at the point of conflict between the foresaid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