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元末明初 朝鮮・明의 요동쟁탈전과 국경분쟁 고찰 (Analysis of the Liaodong(遼東) Territory Problems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08
34P 미리보기
元末明初 朝鮮・明의 요동쟁탈전과 국경분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2호 / 81 ~ 114페이지
    · 저자명 : 남의현

    초록

    元末明初 明나라는 鐵嶺衛 설치시도, 공로폐쇄, 두만강 유역 10處 여진인 회유, 奴兒干都司의 설치, 遼東八站으로의 진출 등 강역을 확대하기 위한 많은 조치를 취하였다. 중국은 이러한 명초의 시도들을 통해 압록강과 두만강이 조선과의 국경선이 되었고 광활한 여진지역이 명나라의 관할지역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원말명초 『明實錄』과 『朝鮮王朝實錄』 등 양국의 관련 사료를 살펴보면 이러한 중국의 주장과는 많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원대에는 遼陽行省이 설치되었고 수많은 고려인들이 요동에 살고 있었기 때문에 압록강과 두만강은 고려와 몽골의 경계가 될 수 없었다.
    고려 공민왕은 몽골의 쇠퇴와 더불어 遼陽과 우라山城 지역을 공략하여 요동을 잠시 고려의 영향력 하에 두기도 하였다. 명나라는 건국 후 철령위 설치를 시도하며 압록강에 명군을 주둔시키고자 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요동 북부 鐵嶺(지금의 철령시)으로 衛를 이전하여 압록강은 명과 고려(조선)의 국경선이 될 수 없었다. 또한 명나라는 공로폐쇄를 통해 고려의 요동진출을 금지하고 북원과의 연합을 차단하였으나 압록강을 차지할 수는 없었다. 永樂年間에는 두만강 유역의 10處 여진인을 명의 관할로 만들고자 시도하였으나 여진인의 저항과 조선의 외교적 노력에 막혀 역시 좌절되었다. 나아가 당시 두만강 유역은 조선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고, 조선은 두만강 유역의 여진문제를 중요한 현안으로 삼고 지속적으로 초무정책을 추진하고 있었기 때문에 10처 여진인과 여진의 알타리부를 이끌고 가던 지도자 맹가첩목아를 조선의 영향력 하에 둘 수 있었다. 명나라는 결국 압록강 유역에 군사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었고 압록강 대안 180리에 해당하는 압록강~연산관 지역은 국경지대로 남게 되었다. 이 국경지대는 조선과 명이 국경을 선으로 획정할 수 없으며, 지역 곧 면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중국이 주장하는 조선과 명의 국경선이 압록강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나아가 高麗와 朝鮮의 국경인식에는 늘 公嶮鎭이 세계관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세월이 지나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하지 못하고 있지만 명나라 역시 건국초기부터 공험진 이남은 고려와 조선의 영역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었다. 조선 역시 여진족들과 경계를 논하거나 강역의 귀속문제를 논할 때 이 공험진은 매우 중요한 역사적 근거가 되고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공험진과 선춘령 자체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그 남쪽에 있는 백두산은 당연히 조선에게 귀속될 수밖에 없고 결국 두만강과 백두산 변경의 문제는 조선과 여진사이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 두만강이 명과 조선의 국경이 될 수 없다는 이야기다.
    正統年間(1436~1449) 이후 建州女眞을 비롯한 여진세력은 李滿住・董山 등이 중심이 되어 遼東都司 동부 지역을 공격하고 역으로 조선과 명의 협공을 받는 등 전쟁과 갈등의 양상을 만들어 냈다. 명나라는 東州堡・馬根單堡・淸河堡・靉陽堡 등 변장을 수축 정비하며 국경선에 해당하는 요동변장 방어선을 구축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변장 수축사업은 결국 여진지역이 명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임을 자인하는 중요한 증거로 볼 수 있다. 조선 역시 4군6진을 개척하지만 여진지역 깊숙이 들어가지 못하였다. 종합해보면 현재 중국이 주장하고 있는 압록강과 두만강 국경설, 그리고 백두산이 명의 관할이라는 것, 명대 여진지역이 명나라의 판도였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Researches conducted in China are making it sound as if the entire Manju region was the territory that belonged to the Ming Dynasty through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historical territories of China after the 80s.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is type of research on territory conducted in China.
    Manju region was not the region that was not overseen administration-wise by the Ming, and it was the neutral zone when it comes to the boundaries of the Ming dynasty and Joseon(朝鮮). And this was the advance base installed for the Ming to defend the Liaodong due to the incremental growth of the Jurchen Tribe. And this research tracked from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Wei-suo System, showing that the Liaodong’s transformation cannot be the military facility that is the same as The Great Wall.
    This research criticized China’s logic that the Dooman(豆滿) River and Mt. Baekdu(白頭山) were those of the Ming dynasty. As a resul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Wei installed at the Jurchen region by the Ming dynasty is merely an attachment of the Wei name to the Jurchen Tribe in a formal manner. Qing Dynasty’s historical record such as the 『Manjuwonryugo(滿洲源流考)』 is limited to the are that i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Liaodongdusi when it comes to the Liaodong territory governed by the Ming dynasty.
    In sum, influence on the Ming dynasty’s Manju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region out of the range that certain power does not reach’ where the power of the Ming dynasty did not reach when it comes to most of the Jurchen regions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the Liaodong Wei-suo System, formative installation of the Jurchen Wei-suo, Ming dynasty’s the Yalu River and Dooman River, failure to enter into the Mt. Baekdu(白頭山) region, and failure to enter into the Huilong(黑龍) River drainag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