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래권번의 혼종적 정체성 (Hybridity of Dongnae Kwonbun(東萊券番))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02
21P 미리보기
동래권번의 혼종적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7권 / 293 ~ 313페이지
    · 저자명 : 김정하

    초록

    이 글은 근대식민지기 일제의 문화정책에 따라 조직된 권번 기생들의 정체성에 관한 고찰이다. 특히 동래부의 관기의 신분을 지녔던 기생들이 동래권번에 소속되어 다양한 문화와 기예를 익히고 공연 등을 하면서 구축한 혼종적 정체성에 대해 논했다.
    권번기생들이 식민통치와 더불어 이질적 외래문화를 수용하면서도 전래의 기예를 전승해온 바에 대해서는 그간에도 다양한 논의가 축적되었다. 주로 권번제도에 대한 식민지배자의 일방적 강요를 민족주의적 관점으로 비판하거나 이질적 외래문물의 영향을 예술사적 시각이나 식민지근대화론에 의해 본 기존논의는 식민주체나 외래문화에 초점을 맞춰 왔다. 그래서 정작 피지배자의 존재 의의나 대응방식에 대해서는 소홀한 면을 드러냈으며 특히 다문화주의를 포함한 식민지배방식에 나름의 대응전략을 구사한 기생들의 역할과 역량을 과소평가한 측면이 있다.
    이에 여기서는 동래권번을 중심으로 당대 기생들의 조직과 활동을 통해 드러난 혼종성을 살펴본 후 그로부터 어떻게 정체성이 구축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관기 출신의 동래권번 기생들은 일제가 ‘풍속 개량’을 명분으로 조직한 일본식 게이샤조직 권번에 소속되면서 권번에서의 학습이나 운영은 일본 게이샤조합의 방식을 따라야 했다. 그처럼 동래권번 기생들은 식민당국이 ‘지배’와 함께 ‘회유’를 시도하는 양가적이고 모순적인 혼종을 전유하여 그에 대응하고 저항하고자 했다. 즉 다양하고 다문화적인 학습과 공연은 단지 잡종문화의 ‘모방’만이 아니라 식민권력을 분산시키는 책략이자 지배자의 문화정책을 역이용하여 ‘전래문화 전승’의 기회와 방법으로 삼은 것이다.
    이처럼 갑오경장을 계기로 신분적 억압에서 풀려난 관기출신의 기생들이 식민지배로 인한 소외와 부정을 극복하려는 정체성에 대한 자각과 인정투쟁으로 이어졌다. 정체성이란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실제로 어떤 행위와 사고를 하느냐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동래권번 기생들이 지배자로부터 전유한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혼종은 바로 그들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원리였다. 그처럼 동래기생들은 다양하고 다문화적인 기예의 학습과 공연 기회를 활용하여 전래문화를 계승하고 수호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혼종적 정체성을 구축했다. 특히 동래온천장에서의 공연은 식민지배자들이 개발한 식민지 관광 상품만이 아니라 동래권번 기생들이 전래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수단이었다. 나아가 동래기생들은 ‘자유폐업’ 선언을 비롯해 ‘주식조직(株式組織)’ 구성, 기생학교 설립과 운영, 조선물산장려운동, 단연(斷煙)운동 등의 사회활동으로 식민통치에 길항(拮抗)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식민주의 담론의 전형적인 이항대립 관계를 해체하고자 양가적 혼종을 원용하는 바탕 위에서 과거를 선별적으로 부각하고 새로운 정치적 의도나 근대적 상상력으로 나름의 혼종적 정체성을 구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동래권번 기생들은 이처럼 식민주의 문화지형에 틈새를 내는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식민지배자의 권위를 전복시키고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냈다. 결론적으로 동래권번 기생들은 여타 권번기생을 대표하는 집단으로서 탈식민주의를 실천한 전형적 예를 보여주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treatise aims at analysing and interpreting about Gisaengs’ organization and acts in Dongnae where w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transport in Chosun dynasty and became to be ‘contact area’ to receive affect of foreign culture after Modern times.
    At that time Japanese Empire tried publicly to change culture of colonized country with political and economical invasion. Their attempt to change Gisaengs’ position from official being to member of Geisyas’ unity named ‘Kwonbun(권번(券番))’ was one of the cultural policies. To cope with such policy, Dongnae Gisaengs accept foreign culture, succeed and keep traditional art on the other hand.
    To analyse and interpret colonized people’s attitude, this treatise will quote Homi Bhabha’s ‘Principle of Double-sideness’ to find out the meaning of property of language in bybrid situation. As the result, Dongnae Gisaengs learned and played Korean, Japanese and Western dances and songs including Changgeuk(창극) which was multiple and hybridized arts prohibited before, therefore they practiced really ‘Hybrid of Double-sideness’. Going a step forward, their play was a model to include ironic meaning, intonation and several belief system, and their play was consumed as ‘colony tourist goods’ and at the same time ‘succeeding and keep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other words, such hybrid was strategical intention which was not only mixing by ‘organic hybrid’ but also keeping departure with mixing to use ‘dialogue’ in the situation in which debating acts and cultural differentiations were conflicted.
    They were liberated from status system with Kabokyungjang(갑오경장(甲午更張)) and overcome their existential isolation and negation to succeed and keep traditional culture by the occasion of modernization to accept foreign, new culture. They did not only learn and play foreign and multiple arts but also make and play new works, furthermore they went to Japan to have concert. They announced ‘free strike’, organized Dongnae Kwonbun as a joint-stock company, established and managed Gisaeng school and participated The Stimulating Korean Products Campaign and The Non-smoking Campaign. Like these, they highlighted past by described with other’s language and made colonizer other overtly with reconstructing selfish subjectivity and identity to drive “such strategy to make a gap on colonial cultural landform”.
    Such Dongnae Gisaengs’ learning and acts was a good example of upset colonizer’s authority with subjective and resistant attitude in colonized situation. As the result, Dongnae Gisaengs realized subjective and resistant hybridity to overcome colonization with ‘Principle of Double-sideness’ to accept foreign culture and to succeed and keep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