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경상도 尙州 학풍의 일면 -申東永(1753-1818)과 그의 문집 『存齋遺稿』를 중심으로- (One aspect of Academic trditions in Gyeongsang(慶尙) Provinces Sangju(尙州) in Late Joseon Period - Focus on Shin Dong-Young(- 申東永, 1753-1818) and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Jonjaeyugo(存齋遺稿) -)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11
52P 미리보기
조선후기 경상도 尙州 학풍의 일면 -申東永(1753-1818)과 그의 문집 『存齋遺稿』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4호 / 103 ~ 154페이지
    · 저자명 : 오세현

    초록

    조선후기 경상도 尙州는 영남학파의 영향과 함께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율곡학파와 화담학파의 영향력이 공존하는 지역이었다. 상주 출신의 재야 학자 申東永(1753-1818)은 그러한 상주의 다양한 학문적 특징 중에서 율곡학파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인물이다. 신동영의 본관은 平山으로 고려말 조선초의 문인 申槩(1374-1446)를 派祖로 하는 平山申氏 文僖公派의 일원이다. 신동영의 11대조 申叔彬(1457-1520)이 戊午士禍 이후 경상도 聞慶에 은거하면서 평산신씨 문희공파의 경상도 거주가 시작되었다. 9대조 申裕(1496-1541)가 문희공파 안에서 小宗의 분기를 이룩하며 상주에 기반을 마련했고, 申碩蕃(1596-1675)과 申碩亨(1605-1660) 형제가 17세기 중반 예송논쟁을 전후하여 서인의 학문적 지향에 동참했다. 신동영 역시 가학으로 전수되었던 서인 학문에 상당한 친연성을 보였는데, 그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그의 문집 『存齋遺稿』이다.
    『존재유고』는 제1-2책에 해당하는 ‘箚疑’와 제3책에 해당하는 상소와 편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집의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신동영은 앞 세대의 학문적 성과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의심이 드는 부분에 대해 역대의 학설을 근거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방법인 箚疑를 강조했다. 箚記를 작성한 근본 이유가 程朱의 학설에 대한 의문 때문임을 강조한 신동영은 주희의 中和說에 대한 논의에서도 영남학파와는 다른 논의를 제시했다.
    신동영은 『大學章句』 중에서 주희가 직접 지어서 보충한 傳文 5장인 補亡章에 대해 의문을 지녔다. 그런데 자신과 마찬가지로 주희의 『대학장구』에 의문을 지녔던 李彦迪의 문집 『晦齋集』을 열람하다가 「大學章句補遺序」를 접한 후 이언적의 취지에 상당한 공감을 표현했다. 신동영에 대한 율곡학파의 영향력은 李珥의 理氣論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이가 제시한 이기론의 세부 표현에 대한 수정을 통해 더욱 완벽한 논의를 기대한 신동영은 이황의 이기론이 기반하고 있는 이기호발론에 대한 근본적 비판과 달리 이이의 이기론을 적극 지지했다.

    영어초록

    Gyeongsang Provinces Sangju(尙州) in Late Joseon Period existed the influence of Yeongnam academic groups and also coexisted of the influence of Yulgok(栗谷) academic groups and Hwadam(花潭) academic groups by the physical geography. Shin Dong-young(申東永) who was born in Sangju is the scholar represent the influence of Yulgok academic groups. His family clan is Pyungsan(平山). Sin Gae(申槩, 1374-1446) who was the nobleman between late goryeo and the Early Choson Dynasty was progenitor of Pyungsan Shin clan(平山申氏) Munhigongpa(文僖公派) and Shin Dong-young was the member of that group. Shin Suk-bin(申叔彬,1457-1520) started the residence in Gyeongsang Provinces after the Muoh(戊午) massacre of scholars. Shin Yu(申裕,1496-1541) ramify in the Pyungsan Shin clan Munhigongpa and laid the groundwork in Sangju. Shin Suk-bun(申碩蕃, 1596-1675) and Shin Suk-hyung(申碩亨, 1605-1660) brothers actively participated in Seoin(西人) study through Yesong(禮訟) argument in mid-seventeenth century. Shin Dong-young also was close Seoin study that have been passed down the generations, and the evidence that show such circumstances is Jonjaeyugo(存齋遺稿).
    Jonjaeyugo consisted of two parts that volume 1-2 that was made up of chaui(箚疑) and volume 3 that was made up of appeal and letter. Shin Dong-young emphasize chaui that express one´s intention by raising a question whether the words of ancient sages wrong or right. He wrote chagi(箚記) and that’s fundamental reason is the question about Zhu Xi(朱熹)’s theory. He suggested a different discussion about Zhu Xi’s Jungwha(中和) theory from Yeongnam academic groups.
    Shin Dong-young suggested a question about Daehak-Janggu(大學章句)’s volume 5(補亡章) that Zhu Xi wrote. He read Daehak-Jangguboyu-seo(大學章句補遺序), that Lee Un-jeok(李彦迪) wrote by browsing Hoejae-jip(晦齋集) and he actively express sympathy about Lee-unjeok’s theory. Shin Dong-young also express critical sympathy about Lee-Yi(李珥)’s Lichi(理氣) theory. He looked forward to be more perfect theory by modification in detail expression. But Shin Dong-young show the basic criticism to Lee-Hwang(李滉).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