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野彙輯』 소재 「六臣立節仗危忠」의 인물 형상화와 서사 구성 방식에 대하여-「六臣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bout the character imagery and narrative composition revealed in 「Yuksinipjeoljangweichung(六臣立節仗危忠)」 in 『Dongyahwijip(東野彙輯)』-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Yuksinjeon(六臣傳)」-)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12
31P 미리보기
『東野彙輯』 소재 「六臣立節仗危忠」의 인물 형상화와 서사 구성 방식에 대하여-「六臣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7권 / 245 ~ 275페이지
    · 저자명 : 이강석

    초록

    사육신의 충절을 증언한 남효온의 「六臣傳」은, 사육신의 복권을 통해 그들의 충절이 사회적으로 공인되기 이전까지 불온의 비전으로 취급되었다. 「육신전」이라는 텍스트 자체는 물론, 그 주인공들에 대한 언급조차 자유로울 수 없었던 상황은 「元生夢遊錄」과 같은 텍스트의 탄생을 추동했다. 그 또한 마찬가지로 사육신의 비분함과 충절을 그려내는 데에 주력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육신전」이 그려낸 사육신의 형상은 역사적 진실로 자리매김하여 지금까지도 굳건히 각인되어 있다.
    『東野彙輯』에 실린 「六臣立節仗危忠」은 「육신전」을 모본으로 하지만, 찬자의 편찬의식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동반하고 있다. 사육신의 형상에서 비분함을 지워내고, 「육신전」에 등장하지 않았던 단종을 등장시키고 있는 점이 그러하다. 이러한 차이는 기존의 서사를 해체하여 재조직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추가해 편폭을 확대하는 서사적 변화에 기인한 것임에도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가 갖는 모본과의 차이는, 세조의 불의에 대한 항거가 곧 단종에 대한 충절이라 오랫동안 각인되었던 ‘忠節’의 딜레마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육신의 충절이 향하는 방향을 명확히 가리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사육신이라는 같은 대상을 그려내는 방식은 달랐지만, 이 역시도 사육신을 그 옛날 백이와 숙제, 엄광과 같은 반열에 올려 놓았던 것이다. 남효온이 「육신전」을 지으며 천명했던, ‘죽음을 아껴 大賢의 이름을 인멸시킬 수 없다’는 공언은 이렇듯 「육신입절장위충」에서도 여전히 구현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Yuksinjeon(六臣傳)」 which testified to Sayuksin(死六臣)'s fidelity, was treated as a disturbing secret story before Sayuksin was restored. The situation in which not only the text of 「Yuksinjeon」 itself but also the main character Sayuksin could not be free to mention caused the birth of 「Wonsaengmongyurok(元生夢遊錄)」. It also focused on portraying Sayuksin's indignation and fidelity. For this reason, Sayuksin's figure revealed in the 「Yuksinjeon」 has become a historical truth and still firmly imprinted.
    「Yuksinipjeoljangweichung」 in 『Dongyahwijip』 is based on 「Yuksinjeon」, bu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t was the point that erased the indignation and highlighted the image of the fidelity. This is because Sayuksin's image removes resentment and features King Danjong(端宗), who did not appear in the 「Yuksinjeon」. This difference does not seem to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even though it is due to narrative changes that dismantle and reorganize the existing narrative and expand the width by adding new storie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tory and the original was that protesting against King Sejo's injustice was fidelity to King Danjong, which solved long imprinted dilemma of ‘Fidelity’, and at the same time clearly pointed to Sayuksin's fidelity. Although the method of portraying the same object as Sakyuksin was different, but this also putting Sayuksin in the same class as Bo-yi(伯夷) and Shu-qi(叔齊), Yán Guāng(嚴光). Nam Hyo-on's vow, which he declared by making an 「Yuksinjeon」, "It cannot destroy the name of the loyalist to avoid death,” was still being implemented in 「Yuksinipjeoljangweich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