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省校餘集>>을 통해 본19세기 초 館閣詩의 양상-花卉ㆍ園藝 취미와 墨戱를 중심으로- (Aspects of Bureaucratic Poetry in the Early 19th Century Seen through "Dongseonggyoyeo-jip(東聖校餘集)"-Focusing on the vase-fish bowl watching and ink-painting activiti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8
38P 미리보기
&lt;&lt;東省校餘集&gt;&gt;을 통해 본19세기 초 館閣詩의 양상-花卉ㆍ園藝 취미와 墨戱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8호 / 105 ~ 142페이지
    · 저자명 : 채지수

    초록

    『東省校餘集』은 1813∼1814년 정조의 어제 편찬을 담당한 규장각 관료들이 함께 수창한 시를 수록한 시집이다. 수록된 시들의 창작 정황을 살펴보면, 19세기 문인들의 문예 취향이 반영된 요소들이 다수 포착된다. 그중에서도 연꽃 花柄과 盆池 완상, 그리고 화훼를 매개로 한 墨戱는 19세기 발달한 원예 취미를 업무 공간에서 틈틈이 향유하며 심미적 욕구를 해소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화병 속 연꽃과 墨竹은 이들에게 최상의 淸淨과 剛直을 지닌 존재로 묘사되며 이들이 지향하는 高雅의 미감에 가장 부합한 소재였다. 나아가 이상적인 관직자의 표상이자 규장각 관료로서 집단의식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분지를 완상한 시에서는 궁궐의 냇물을 담아 더욱 청량하고 신성한 연못의 이미지를 형성하였고, 그 안에서 헤엄치는 붕어의 모습을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문인이 물길을 거슬러 뛰어오르는 잉어의 포부와 큰 바다를 날아가는 붕새의 이미지를 연상하였다. 이와 같은 높고 씩씩한 기상의 시풍은 조정과 왕실의 治化로 태평성세를 이루리란 축원이 담겨있다. 『동성교여집』의 연꽃 화병과 분지 시는 19세기 문예 취향과 관각적 특성이 결합하여 규장각 신료들의 기상을 높이고 조정쇄신의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홍경래의 난이 진압된 직후 조정 분위기의 쇄신이 필요했던 정치적 상황과 연관이 있다.
    이후 헌종대에 순조와 익종의 어제를 정리ㆍ편찬하던 관각문인들도 『동성교여집』에 차운하고 이들의 풍류를 계승하려는 의지를 보인 점에서, 『동성교여집』은 19세기 관각문인의 전통을 계승하는 상징성이 담긴 시집이었다.

    영어초록

    “Dongseonggyoyeo-jip(東聖校餘集)” is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Gyujanggak(奎章閣) bureaucrats who were in charge of compiling the anthology of King Jeongjo(正祖) in 1813-1814. Looking at the creation situation of the included poems, many elements that reflect the literary taste of 19th century writers are captured. They put a lotus flower in a vase and enjoyed watching it, and unwrapped a strange-shaped stone and carp in a water vase to enjoy viewing it. And they enjoyed a brief break from work while drawing lotus, pine tree, and bamboo in ink and writing poetry. These activities a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intermittently enjoying the hobby of gardening, which was popular in the 19th century, in a work space and solving aesthetic needs.
    The lotus flower in the vase and the bamboo painted with ink are portrayed as beings with the highest level of purity(淸淨) and strength(剛直), and they were the material most suitable for the noble and elegant aesthetic sens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cular. Furthermore, they were continuously used as an image symboliz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s a symbol of an ideal official and a Gyujanggak bureaucrat. In the poem that perfected bowl Pond, the image of a more refreshing and sacred pond was formed by containing the stream of the palace, and the appearance of the crucian carp swimming in it was described in detail. At this time, in many of the works, the aspirations of a carp that jumps up the waterway through a crucian carp and an imaginary bird that flies across the great sea were reminded. The poetic style of such a high and courageous spirit contains the expectation that age of great peace and plenty will be achieved through benevolent politics of the court and royal family.
    “Dongseonggyoyeo-jip”’s lotus vase and fish bowl poems combine the 19th-century taste in literatu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ureaucratic literature to contribute to the high spirits of the Gyujanggak cabinet and the atmosphere of adjustment and renewal of the court. The idea of poetry as such is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required a change in the mood of the court immediately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Hong Gyeong- rae rebellion. Also, in that the Gwangak literati who organized and compiled the royal records of king Sunjo and prince Ikjong in the king Heonjong era, borrowed and followed letter-rhymes from “Dongseonggyoyeo- jip”, showing their will to inherit the contemporary arts, “Dongseonggyoyeo- jip” was a collection of poems containing symbolism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bureaucratic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