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사기』열전 弓裔傳의 東略路 고찰 -‘어진(御珍)’의 위치 비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Dongyakro (東略路) of the Biography of Gung-ye (弓裔傳) in Samguk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ith focus on estimating the location of ‘Eojin (御珍)’-)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4
41P 미리보기
『삼국사기』열전 弓裔傳의 東略路 고찰 -‘어진(御珍)’의 위치 비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46호 / 432 ~ 472페이지
    · 저자명 : 홍영호

    초록

    이 글은 弓裔가 梁吉로부터 벗어나 溟州(지금의 강릉)에서 將軍을 선포하며, 사실상 자립하는 계기를 만든 東略路의 위치를 규명하고, 특히 가장 논란이 되는‘御珍’의 위치를 비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궁예전에서 시간적선후 관계에 따라 나타나는 여러 지명들을 몇 개의 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궁예의 출생 및 성장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지명인 ‘世達寺’와 ‘雉岳山 石南寺’는 선행 연구 성과를 받아들였다. 즉 세달사는 ‘世達’명 기와편이 출토된영월군 남면 흥월리 ‘흥교분교[일명 흥교-절]’ 일대, 치악산 석남사는 ‘石南寺’명기와편이 출토된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절골’에 위치하였다고 인정하였다.
    다음, 동략로에 보이는 ‘酒泉’, ‘奈城’, ‘鬱烏’, ‘御珍’의 각 지명들은 논란이 있음을 소개하고,『삼국사기』「지리지」를 근거로 주천은 지금의 영월 주천면, 내성은 지금의 영월읍, 울오는 지금의 평창읍으로 그 위치를 비정하였다.
    마지막으로 ‘御珍’은 그 위치 비정을 시도하였다. 이 ‘어진’의 위치는 현재 ‘울진설’이 다수이나, 확실하지 않고 논의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각종 관련 자료들을 찾아 집중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삼국사기』 「지리지」 및 『고려사』 「지리지」와 고고자료들을 분석하여 지금의 정선군 ‘임계’ 지역이 통일신라 시대 명주의 領縣 가운데 ‘今未詳’ 지명인 棟隄縣( 고구려 지리지의 東吐縣)이고, 신라~통일신라시대에 강릉과 정선군 임계면 지역이 서로 교통로로 연결되었음을규명하였다. 그리고 정선군 임계 지역에 신라산성과 대규모의 신라고분군이 있는‘山城村(지금의 장찬성, 송계리산성)’ 주변에 ‘於田’이라는 흥미로운 지명이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어전’은 궁예의 동략로 ‘어진’과 발음이 유사하므로 정선군임계면 지역을 ‘어진’으로 비정하였다. 여기에 궁예와 관련된 전설과 지명은 강원도에서 철원, 평강, 원주를 제외하면 찾을 수 없는데, 정선읍에서 궁예의 부하 장수이야기가 남아 있다. 이는 궁예의 동략로 방향을 시사한다고 판단된다.
    결국 이 ‘어진’의 위치를 규명한 후 궁예의 동략로를 파악해보면, 궁예는 강원도 남부지방, 즉 치악산 석남사-주천(영월)-내성(영월읍)-울오(평창읍)-정선읍-어진(임계)-삽당령-명주(강릉)로 進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Dongyakro (東略路), which created the opportunity for Gung-ye (弓裔) to break away from Yang-gil (梁吉), declare himself a general (將軍) in Myeongju (present-day Gangneung), become practically independent, and in particular, determine the location of 'Eojin (御珍)', which is the most controversial.
    First, as for the place names ‘Sedalsa Temple (世達寺)’ and ‘Chiaksan Seoknamsa Temple (雉岳山 石南寺)’, which appear in connection with Gung-ye’s birth and growth, I accept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In other words, I admitted that Sedalsa Temple was located in 'Heunggyobungyo [a.k.a. Heunggyo-Jeol]' in Heungwol-ri, Nam-myeon, Yeongwol-gun, where the 'Seodal' name tile piece was excavated, and Chiaksan Seoknamsa Temple was located in 'Jeolgol', Seongnam-ri, Sillim-myeon, Wonju City, where the 'Seoknamsa Temple' name tile piece was excavated.
    Next, I explained that the place names 'Jucheon (酒泉)', 'Naeseong (奈 城)', 'Uloh (鬱烏)', and 'Eojin (御珍)' seen in Dongyakro are controversial, and based on Samguksagi 「Jiriji (Geography Section)」, the location of Jucheon was determined as Jucheon-myeon in present-day Yeongwol, Naeseong as present-day Yeongwol-eup, and Uloh as present-day Pyeongchang-eup.
    Lastly, I tri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Eojin (御珍)’. Most people believe that the location of ‘Eojin’ is what is now ‘Uljinseol (蔚珍說)’, but it is not certain and is open to discussion. Therefore, I attempted to find various related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and intensively analyze them. Consequently, I established that ‘Eojin’ is present-day Imge-myeon, Jeongseon-gun.
    Ultimately,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Dongyakro of Gung-ye afte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Eojin', we can see that Gung-ye advanced in the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that is, Chiaksan Seoknamsa Temple- Jucheon (Yeongwol)-Naeseong (Yeongwol-eup)-Uloh (Pyeongchang-eup) -Jeongseon- It can be seen that it was moved to eup-Eojin (Imgye)- Sapdangryeong-Myeongju (Gangne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