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州 李敏求의 <述懷一百韻> 詩 고찰 (A Study on the ‘describe regret in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百韻詩)’ by Lee Min-gu(李敏求), Dongju(東州))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2
33P 미리보기
東州 李敏求의 &lt;述懷一百韻&gt; 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60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이연순

    초록

    본고에서는 17세기에 동주 이민구가 유배지 영변에서 남긴 〈술회일백운〉시의 창작 배경과 전개상 특징을 살피고, 그 문학사적 의의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 시는 동주가 유배 시기에 두보 시에서 받은 영향을 반영한 작품이자, 조선 중기에 두보의 백운시를 차운한 작품이 점차 많이 나오며 발달해가던 가운데 지어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주목되었다.
    이에 동주 백운시의 전개 과정을 따라가며 그 특징적인 점을 추려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주는 앞부분에서 조선 왕조의 번영과 함께 자신의 가문과 삶에 집중하여 장대하게 전개하고, 중간에 병자호란에 대해 회상하며 전장을 묘사하며, 辭賦 인용을 통해 유배지에서의 심회를 표출한 후, 마지막에 일상생활을 영위하며 정신적으로 회복해가는 과정을 보여준 점을 들 수 있었다.
    이러한 동주의 백운시는 유배지에서 지어진 백운시로 16세기 노수신의 〈승평(백운)〉 시와 19세기 이학규의 〈성시전도일백운〉 시가 각기 유배지 순천과 유배 이전의 한양이라는 특정 지역을 대상화하여 다룬 것과 달리, 자신의 생과 내면의 회포를 중심으로 깊이 다루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유배지에서 굴원 등의 작품 속 고독과 소외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드러낸 조선 전기의 유배시들과 달리, 중국의 辭賦를 인용하되, 이를 정신적으로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인 점에서도 차별화된다.
    그리하여 동주의 백운시는 조선 시대 백운시로서 조선 후기 남인 문사들이 백운시를 짓는 데에 영향을 미치고, 유배지에서 지어진 시로서 그 계보를 이으면서도 차별화되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m of ‘describe regret in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by Lee Min-gu, Dongju, and to give its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history. This poem was written by Dongju in the 17th century in Yongbyon, a place of exile. In particular, This poem tells us that Dongju was influenced by Doo-bo(杜甫) poetry during the exile period. And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any works that borrowed a poem of Doo-bo’s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were gradually produced and developed. This poem draws attention in literary history because it was built during such a perio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uld be found as characteristics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by Dongju. At the beginning of the poem, Dongju started magnificently by focusing on his family and life with the prosperity of the Joseon Dynasty. Subsequently, he recalled the Manchu war of 1636, described the battlefield, and expressed his feelings in exile through quotes from the Chinese literature of 辭賦. However, Dong-ju showed the process of mentally recovering through his daily life.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Dongju is different from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the mid-Joseon Dynasty. After that, it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Baegunmansi(百韻輓詩) by Namin(南人)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s a poem built in exile, it was able to reveal it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differentiated while continuing its genea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