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학사의 동학삼사(東鶴三祠) 연구 - 사적 전개와 의례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onghak-Samsa (東鶴三祠) in Donghaksa Templ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6
33P 미리보기
동학사의 동학삼사(東鶴三祠) 연구 - 사적 전개와 의례 변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19권 / 115 ~ 147페이지
    · 저자명 : 곽묘신

    초록

    본 논문은 원찰․원당의 시각에서 조선 시대 동학사 내 동학삼사(東鶴三祠)의 불교사적 전개를 통해 이곳에 모셔져 있는 인물들을 위한 의례에 주목한 연구이다. 동학삼사에는 현재 단종을 비롯하여 단종의 거사를 돕다 죽임을 당한 종친과 사육신 및 생육신, 관료 그리고 심지어 노비들도 제향되고 있다. 특히 계룡산 초혼각지(鷄龍山 招魂閣址)는 야은 길재가 동학사의 승려와 함께 단을 쌓고 고려의 국왕과 정몽주를 초혼하는 제사를 지냈다는 점도 원찰 연구의 단초로 삼는다. 또 하나의 전각으로 숙모전(肅慕殿)을 다룬다. 이곳은 계유정난을 계기로 등극한 세조가 단종을 폐위하면서 건립되게 된 조선의 역사적인 공간이다.
    본 논문은 동학삼사의 공간을 단순히 유교의 사당이나 사우로 볼 수는 없다는 점에 집중하고 있다. 말하자면 숙모전을 포함한 동학삼사에 모셔지고 제향되는 인물들의 면면들을 들여다보면, 이곳은 조선시대 유교 의례와 불교적 죽음관 및 그 의식이 혼합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학사 동학삼사의 공간/장소에서 특정 인물들을 제사해 온 역사를 일차적으로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유교적․불교적 의례 혹은 이들 의례의 혼합양상이 번갈아가며 지속되는 양상을 포착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focusing on the rituals for the people enshrined here through the Buddhist historical development of Donghak Samsa (東鶴三祠) in Donghaksa Temple(東鶴寺)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Wonchal(願刹) and Wondang(願堂). In Donghak Samsa Temple, ancestral rites are now held for King Danjong(1441~1457), as well as those who were killed while helping King Danjong’s affairs, such as the slaughtered spirits, burials, bureaucrats, and even slaves. In particular, at the Chohongakji(招魂閣址) in Gyeryongsan, the fact that Yaeun Giljae(冶隱吉再, 1353~1419) built an altar with the monks of Donghaksa and held the first wedding ceremony for the Goryeo king and Jeong Mongju is also consider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of original texts. As another hallmark, Sukmojeon(肅慕殿) is dealt with. This is a historical space in Joseon Dynasty that was built when King Sejo( 1417∼1468), who ascended to power in the wake of the Gyeyujeong Rebellion(癸酉靖難), dethroned King Danjong.
    This paper focuses on the point that the space of Donghak Samsa Temple cannot be viewed simply as a Confucian shrine. In other words, if we look at the aspects of the figures who are enshrined and sacrificed at Donghak Samsa, it shows a mixture of the Confucian ritu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Buddhist view of death and its ritua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istory of ancestral rites of specific people in the space/place of Donghaksa Temple is primarily analyzed. In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capture the continuous and alternating aspects of Confucian and Buddhist rituals or a mixture of these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