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손(羅孫) 김동욱(金東旭)의 『국문학사』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Nason(羅孫) Kim Dong-Wook(金東旭))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12
56P 미리보기
나손(羅孫) 김동욱(金東旭)의 『국문학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근대서지 / 26호 / 571 ~ 626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형

    초록

    나손 김동욱이 쓴 『국문학사』는 조국과 민족으로 대표되는 거대담론을 위주로 하였다. 거기에 한일 간 비교문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두 가지는 나손의 문학사가 지닌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러나 거대담론과 비교문학은 상호 모순적 면모를 갖는다. 문학사의 핵심이라 할 시대구분이 나손의 문학사에서는 왕조의 변천에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도 둘 사이의 모순을 극복하지 못한 결과였다.
    나손은 문학사를 기술하기 위한 여섯 개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①문학의 개념 및 범주. ②문학사의 전통. ③기술태도. ④기술방법. ⑤문학사관. ⑥문학사의 지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①은 동양의 문학 개념에 따라 한문학을 국문학사에 포함하였고, 구술로 전하는 구비문학은 배제하였다. 다만 야담과 삼국유사는 문자로 기록되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에 포함시켰다. 문학사의 전통[②]과 문학사의 지향[⑥]은 민족어문을 강조한 상층의 천재들의 역할에 주목했다. 그리고 그들과 민족어문을 적극적으로 향유한 하층민이 함께 어우러진 새로운 국학을 창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작 그의 문학사에서는 그런 모습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했다. 기술태도[③]와 기술방법[④]은 민족적 긍지에 입각한 비교문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문학사관[⑥]은 정태적인 선비정신과 동태적인 화랑도로 혼효하려고 했다. 그러나 화랑도는 일본의 사무라이 정신과 연결되고, 선비정신은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와 도남에게서 이어진 사상의 자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인다.
    나손의 국문학사에서 두 가지 특징을 읽을 수 있다. 하나는 조국과 민족으로 대표되는 거대담론의 구현으로, 다른 하나는 장르의 변천을 진화적 입장으로 이해했다는 점이다. 전자는 정복자와 평화주의자, 그리고 투쟁을 통한 민족의 저력을 담아내고자 했다 점에서, 후자는 ‘근원설화→판소리→판소리계소설’처럼 소위 문학의 형성과 성장과 소멸을 진화적 입장에서 드러냈다는 한계도 보인다.
    나손의 문학사에서는 비교문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등 색다른 방법으로 당시의 실증주의 문학사를 벗어나려고 했다. 하지만 그 역시 당시 분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1.5세대 국문학자였다. 21세기를 사는 지금의 우리들에게 그의 주장은 큰 울림을 줄 수 없지만, 그럼에도 지금 이 시점에서 거대담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국학을 연구하는 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등과 같은 원론적인 물음은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답 역시 결국은 ‘인간’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점도 생각할 일이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國文學史), written by Nason(羅孫) Kim Dong-Wook(金東旭), focuses on the metadiscourse represented by the Motherland and the Nation. And the comparative literature method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pplied. These two are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Nason. However, the metadiscourse and comparative literature contradict each other. The fact that the periodization in history, which is the core of literary history, was based on the royal famil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the result of not being a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two.
    Nason(羅孫) made six basic positions to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is ① The concept and category of literature. ② The tradition of literary history. ③ The descriptive attitude of literary history. ④ The method of writing of literary history. ⑤ The view of literary history. ⑥ The direction of literary history. In ①, included Chines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literature in the East, and excluded oral literature enjoyed by words. However, Yadam(野談) and SamGukYuSa(三國遺事) were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at they were recorded in letters. In the tradition of literary history[②] and the direction of literary history[⑥], Nason noted the role of upper-class geniuses who emphasized our words and writings. He also emphasized the need to create a new Koreanology that combines upper-class geniuses and lower-class people who actively enjoyed our words and writings. However, his literary history did not provide such details. The descriptive attitude of literary history[③] and the method of writing of literary history[④] used a comparative literary method based on national pride. The direction of literary history[⑥] tried to mix the classical scholar scholarly spirit with the dynamic Hwarangdo(花郞道). However, Hwarangdo is connected with the Japanese samurai spirit, and the classical scholar scholarly spirit shows limitations in that it could not escape from the ideology that was passed down from Takahashi Doru(高橋亨) and Donam(趙潤濟).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근대서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