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의 생성 AI 예술활동 사례- 메타 워리돌(Meta-Worrydoll)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Case of Generative AI Art Creation Based on the Metaverse Platform - Focusing on the Meta-Worrydoll Project)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6
13P 미리보기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의 생성 AI 예술활동 사례- 메타 워리돌(Meta-Worrydoll)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22권 / 4호 / 65 ~ 77페이지
    · 저자명 : 김혜란, 김예은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메타버스 예술활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프로젝트를 분석하며 최근 차세대 인터넷으로 등장한 메타버스 플랫폼과 생성형 AI도구를 함께 활용한 예술작품의 사례와 의미를 탐구한다. 「메타-워리돌 (Meta-Worrydoll)」프로젝트는 자동화된 인공지능(AI) 기반의 대화형 창작시스템으로 개념적으로는 아날로그적인 ‘걱정 인형’과 디지털 가상 세계의 ‘아바타’를 결합시킨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디센트럴랜드 (Decentraland) 메타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기능들을 자체 개발하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관객들은 5개 유형의 가상 공간들 중 한 곳을 선택하여 이동하며 숨겨진 워리돌을 찾고 텍스트 입력을 통해 대화를 나누게 된다. 해당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문학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새로운 스토리를 생성하고 관객들이 공간의 탐험을 모두 마치면 저장된 스토리를 기반으로 이미지 자동 생성 알고리즘이 시각적인 창작물을 생성하며 이를 다시 NFT 아트 플랫폼에 스토리와 함께 민팅(Minting)하게 된다. 참여자의 이메일로 창작된 결과물의 링크가 함께 발송되어 관객들은 본인의 탐험이 어떠한 아트워크를 생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별도로 마련된 온라인 전시 사이트에서는 다른 참여자들의 결과물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과 AI 기반의 새로운 관객 참여형 전시 형식을 시도하는 본 프로젝트는 게임에서 사용자의 퀘스트 수행 후 아이템 등의 보상이 주어지는 것처럼 관객의 탐험에 대한 보상이 예술작품으로 주어지는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선행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 상에서 각광받고 있는 공연의 형식과 최근 예술창작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인공지능 예술의 의미와 형식에 대한 논의를 도출한다. 그리고 전시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성과 세대 간의 미디어 디지털 리터리시 인식의 차이점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추후 수정 · 보완할 수 있도록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 a project carried out as part of the Metaverse art support project 2022 by Arts Council Korea and explore examples and meanings of artworks using both the Metaverse platform, which recently emerged as the next-generation Internet, and generative AI. This refers to an autom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interactive art-making system that conceptually combines the analog the ‘Worry doll’ and the ‘Avatar’ of the digital virtual world. The project was developed independently based on Decentraland, a metaverse platform widely used around the world, and audiences find Worridolls at five points hidden in a space and chat with them through text input. When the audience has finished exploring the space, these contents are stored in a database and a new story and image based on the story are created through a generative AI algorithm, at which point is a minting process then occurs, allowing sharing on a NFT art platform. A link to the results is then sent to the participants' email addresses, allowing the audience immediately to see the types of artworks their explorations have created. It is also possible to view the results of other participants on a separate online exhibition site. Through this project, we attempt to create a new audience-participating exhibition format based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generative AI. Here, as in games where rewards such as items are presented after the user completes a quest, audience exploration in this project is also rewarded as a form of artwork.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cases, we discuss the meanings and for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ubject of artistic creation. Through the exhibition, we observe and analyze the public's accessibility t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observ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wareness of digital literacy between generations, ultimately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work her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